논문 상세보기

유도용액으로 혼합비료를 사용한 정삼투식 해수담수화에서 담수화 성능에 대한 유도용액 농도의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Draw Solution Concentration on Forward Osmosis Desalination Performance Using Blended Fertilizer as Draw Solu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8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혼합 비료를 유도용액으로 하는 정삼투식 해수담수화에서 담수화 성능에 대한 유도용액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 다. 혼합비료용액(DS)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투과선속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PR (performance ratio)은 감소 하였다. 또한 혼합비료용액의 농도가 600 g/L일 때, 해수 및 탈이온수를 각각 공급용액으로 하였을 경우 각각의 PR은 5.39 및 6.50이었다. 혼합비료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 P 및 K의 역용질선속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비역용질선 속은 감소하였다. 역용질선속과 비역용질선속은 모두 질소(N) > 칼륨(K) > 인(P)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raw solution concentration on forward osmosis desalination performance using blended fertilizer as draw solution. As the concentration of blended fertilizer solution (draw solution) increased, the water permeate flux increased nearly linearly, but PR (performance ratio) was reduced. Using sea water and deionized water as the feed solution, respectively, at the blended fertilizer solution of 600 g/L H2O, the PR obtained were 5.39 and 6.50, respectively. And as the concentration of blended fertilizer solution increased, the reverse solute flux for nitrogen (N), phosphorus (P), and potassium (K) increased nearly linearly, but specific reverse solute flux for them was reduced. The reverse solute flux and specific reverse solute flux became higher in the order of N > K > P.

저자
  • 이호원(제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Ho-Won Lee 교신저자
  • 김동국(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글로벌연구센터) | Dong Kook Kim
  • 김승건(제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Seung-Geon Kim
  • 정남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글로벌연구센터) | Namjo 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