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회탈 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의 감성 이미지 비교 연구 KCI 등재

Comparative Study on Sensibility Image to Develop Products of Hahae Mas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3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하회탈이 갖고 있는 감성적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상품과 관련한 제품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하회탈 이미지 평가를 위해 감성 형용사 어휘 32개를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32개의 감성 평가 어휘로 하회탈 이미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 '매력성', '향토성', '흥미성', '역동성', '정교성'의 5개 요인이 나타났다. 둘째, 하회탈 종류에 따라 향토성과 흥미성에서 감성 차이가 있었다. 특히 양반탈이 초랭이탈보다 향토성이 강하며, 중탈, 백정탈 및 부네탈보다는 흥미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회탈 상품의 재질에 따라 정교성에서 감성 차이가 있었고, 특히 유리 재질에 대해 정교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넷째, 하회탈의 감성이미지는 인구통계학적 특성(나이, 성별, 학력)과 제품 특성(재질, 탈 종류)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하회탈 관련 문화상품 개발시 5가지 감성적 요인을 고려한다면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다.

This study has an aim to find out sensible factors of hahae Mask and to be helpful in developing design of products related with cultural products.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32 vocabularies about sensible adjective to evaluate image of hahae Mask. Firstly, this study investigated image of hahae Mask through 32 vocabularies about sensible adjective and categorized 5 factors including 'attractive', 'native', 'interesting', 'active', and 'elaborate'. Secondly, sens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tive' and, 'interesting' based on kinds. Especially yangban Mask has more powerful nativeness than choraengi Mask, and is more interesting than jung Mask, baekjeong Mask, and bune Mask. Thirdly, the materials used in the products of hahae Mask generated differences of sensibility in elaborateness. Especially, elaborate image was emphasized about materials of glass. Fourthly, sensible image of hahae Mask was dependent upon population-statistic characteristics (age, sex, edu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ducts(materials, kinds of Mask). If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related with hahae Mask considers five sensible factors based on this study,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design which coincides with consumers' needs.

저자
  • 김윤희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