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율신경계 반응에 의한 감성 평가 연구 KCI 등재

Research on Emotion Evaluation using Autonomic Respon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3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감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각성은 자율신경계 반응으로 잘 측정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자율신경계 반응만으로 각성차원과 쾌차원으로 구성된 전체감성을 측정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본 연구는 자율신경계 반응으로 전체 감성을 평가할 수 있는지 그 생리적 변수는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1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목적을 위하여 제작된 8개의 동영상으로 다양한 감성을 유발했으며 자율신경계의 대표적 생리신화인 맥파(PPG), 피부저항(GSR), 피부온도(SKT)를 측정하였다. 자극제시후 주관적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감성경험은 크게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 2개의 요인과 생리적 지표를 대응시키는 방안이 탐색되었다. 그 결과, 생리적 지표는 신체적으로 흥분할수록 감성경험에 따라 더욱 분명한 차이를 드러내지만 흥분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생리적인 지표만으로는 감성경험을 예측하기 어려웠다. 흥분과 평온함을 제외한 다른 감성 요인은 생리적인 지표와 직접 대응이 쉽지 않은데, 이는 상관관계가 없어서가 아니라 모든 생리지표와 감성간에 복합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이었다. 특히 SKT는 흥분-평온함만을 반영하는 GSR, PPG와는 달리 불쾌-유쾌 경험과도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KT 지표와 불쾌-유쾌 감성 차원의 대응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Arousal level has been well defined by autonomic responses. However, entire emotion including both valence and arousal level is often questioned to be completely described by only autonomic responses. This study is to find the autonomic physiological parameters which were used emotion evaluation, 15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watch eight video clips from diverse movies and comedy shows for experiencing emotions. The subjectively experienced emotion were grouped by three factors. Two dimensional emotion model having the pleasant-unpleasant and arousal-non arousal factors were mapped with three physiological responses(GSR, PPG, SKT). The results may suggest that PPG and GSR may be used as arousal index while SKT may pleasant index. And the complex relation of physiological responses to emotional experiences are discussed.

저자
  • 황민철
  • 장근영
  • 김세영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