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심미적 영향요소인 단순/복잡, 균형 그리고 선호도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y on Relationship among Simplicity/Complexity, Balance and Consumer Preference of Produ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3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심미적 영향요소 중 하나인 단순/복잡이 과연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다른 심미적 차원들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정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단순/복잡, 균형 그리고 선호도를 가지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근본적인 질문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첫째, 심미적 차원 중 하나인 단순/복잡이 다른 요소인 균형과의 관계. 둘째, 심미적 영향요소인 단순/복잡 그리고 균형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품들을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 제품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범주별 성향을 찾고 이를 기본으로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검증하도록 한다.

This research aimed at a clear definition of simplicity and complexity and other elements of product aesthetics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implicity/complexity on consumer preference, and balance. The research also made it an objective to find answers to underlying questions of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implicity/complexity, and balance, and if there is, then how is the relationship? and is balance in a product's aesthetics an influential factor? does a relationship exist between consumer preference, simplicity/complexity, and balance? In conclusion, the research process categorized products into groups by use of FCB Grid, and analyze4 each group to establish a prototype which represents the group, then questionnaires where presented to consumers in order to find satisfaction to consumer preference. Also, the research proposes a verification method through design process.

저자
  • 김태호 | Kim, Tai-Ho
  • 조광수 | Cho, Kwang-Soo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