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품 유형별 표출되는 감성어휘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Emotional Words by Produ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5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용하는 제품의 유형에 따라 표출되는 감성어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휴대폰 및 웹을 사용하는 도중에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감성어휘들을 추출하여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휴대폰과 같이 하드웨어적인 특성이 강하고 사용자가 어떤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사용하는 상황이 많은 제품에 대해서는 사용상황 및 태스크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용적 만족성'과 '유쾌성' 등에 관련된 감성어휘가 많이 추출되었고, 제품의 외관이나 다양한 시각정보에 의해 표출된 '심미성'과 참신하고 새로운 것에 의해 표출된 '신규성'에 관련된 감성어휘는 다수가 제외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반면에 웹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인 특성이 강하고 사용자들이 특정한 목적의 태스크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보다는 뭔가 새로운 정보를 찾거나 보다 우수한 것을 찾기 위하여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신규성'과 같이 직접적인 사용에 관련된 것보다는 시각적이고 새로운 정보에 관련된 감성어휘가 많이 추출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해당 제품의 특성과 사용목적에 적합한 감성어휘를 중심으로 제품의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각각의 제품에 적합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반증해 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tracted emotional words for measuring user's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cellular phone and a web. And then the emotional words were compared to find out whether the difference in emotional words by the type of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ardware-oriented products used for specific purpose such as cellular phone extracted a lot of emotional words related to 'Satisfaction in Usability' and 'Pleasure'. 'Satisfaction in Usability' are conceived satisfying in usability or practicality of product. 'Pleasure' are pleasant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However the emotional words related to 'Aesthetics' and 'Novelty' were omitted. 'Aesthetics' are expressed by product's appearance and by various visual information while using a product. 'Novelty' are expressed by something that is novel and new that has never been experienced. On the other hand the software-oriented products used rather to find something better and new information than to perform specific tasks such as web extracted a lot of emotional words related to 'Novelt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found evidence that it is desirable to make a set of subjective evaluation scale by the type of products. When making the subjective evaluation scale, it is important to use appropriate emotional words for the purpose of 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products.

저자
  • 정상훈 | Jeong, Sang-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