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감각 제품디자인의 미각적 요소와 제품과의 적합성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 fMRI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 of the appropriateness of gustatory features in 'multi-sensory' product design on product evaluation : An fMRI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7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fMRI 기법을 활용하여 제품과 공감각적 은유가 적용된 제품 디자인에 표현된 미각적 요소와의 적합성 수준이 제품에 대한 신경학적 반응과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미각적 요소와 제품 간의 적합성 정도에 따라 제품디자인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총 40개의 제품디자인이 실험자극물로 사용되었다. 총 15명의 건강한 오른손잡이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실험은 총 2세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fMRI scanning session에서 참가자들은 제품디자인을 관찰하였고, post-scanning session에는 제품디자인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적합성이 높은 제품디자인이 낮은 제품디자인보다 선호도, 구매의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뇌 반응의 경우 긍정적 보상과 관련된 미상핵(Caudate nucleus)과 피각(putamen) 영역이 적합성이 높은 조건의 제품디자인에서 더 많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ppropriateness of gustatory features in product design affect product evaluation and accompanied response by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Through the pilot survey, we categorized the product designs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the appropriateness. The total of 40 product design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stimuli. 15 right-handed participants(mean age = 23.33, SD = 1.7) were scanned with 3T MRI machine(ISOL Tech, Oxford OR63). The experimental stimuli were passively presented inside the scanner. In post scanning sess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measure their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to the product designs. The results show that both the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high appropriateness condition compared to those of low appropriateness designs. Caudate nucleus and putamen, areas related to the positive reward such as monetary acquisition showed greater activation in response to the designs of high appropriateness condition, compared to the low appropriateness designs.

저자
  • 성영신(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Sung, Young-Shin
  • 최민조(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Choi, Min-J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