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V홈쇼핑 카메라 앵글에 따른 브랜드 식기 판매 공간의 연출 효과에 관한 연구 -소비자 선호도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V homeshopping brand dinnerware sales space styling effects with camera angle -Focused on consumer prefer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7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TV화면에 입체감을 표현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촉진하는 TV홈쇼핑 식공간 연출에서 표현되는 공간 깊이감이 표현되는 연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3월에서 2010년 11월까지 C*홈쇼핑에서 실제로 방영된 식기 판매 방송 중 6개 브랜드 식기 판매 방송의 실제 연출 이미지 자료를 분석하고,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서 감성 형용사 이미지어를 분석하였다.TV화면이라는 평면에 입체를 표현되는 연출의 특징은 크기의 비교, 중첩, 사선배치와 원근법적 배치로 추출하여 분석하였고, 식기방송에 주로 사용되는 카메라 앵글의 종류를 버즈 아이 뷰, 하이 앵글, 아이 레벨 등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로 정리되는 것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연출은 브랜드 식기의 주요인에 높은 상관도를 보인 이미지어를 인식하는 경우라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 앵글과 특성에 의한 선호 연출의 방향 제시가 가능하며, 소비자가 선호하는 정량적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 연출 개념이 가능하다고 본다.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V home shopping's virtual space deepness styling, this study had analysis characteristics of space deepness which is showed on flat TV screen with actually aired 6 dinnerware sales case, at C* home shopping, March.2005~November.2010, and survey consumer's emotional verbal image according to space styling character to get space deepness, which were shown on flat TV screen with camera angle, and research mutual relation with consumer preference. Also consumer's typical emotional verbal images for each space styling images for brand dinner ware sales had been extracted with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 dimensional scaling MDS using SPSS. Styling characteristics of space deepness were contrast of size, layering, vertical arrangement, and perspective arrangement, and used camera angles were bird's eye view, hi angle, and eye level. Result from the research is, highly marked consumer preferred styling material had a deep corelation to material's main factor and perceived emotional verbal images. Therefore this research could bring forward to new consumer preferred styl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amera angle.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make a study of preferred styling material through evaluation of quantitative spectators of in this area.

저자
  • 이진민(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전공) | Rhie, Jin-Min 교신저자
  • 장영순(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리빙스타일디자인전공) | Jang, Young-Soon 교신저자
  • 이미연(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리빙스타일디자인전공) | Lee, Mi-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