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러티브 구조 관점에서 본 게임 캐릭터의 퀘스트 플레이에 대한 인터랙션 사전 시각화 KCI 등재

Pre-visualization of Interaction on Game Character's Quest Play : Towards of Narrative Struc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24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게임기획자는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퀘스트의 초기 설계를 한다. 이러한 게임의 정적 컨텐트 수립에 있어 게임캐릭터의 플레이경험을 사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은 게임캐릭터가 고유한 스테이터스를 바탕으로 퀘스트 플레이를 수행함에 있어 캐릭터간 구별되는 정서적 인터랙션을 시각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 영상매체에서 내러티브 구조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둘째, 퀘스트플레이 경험과 플레이어 인지행동을 구체화하였다. 셋째, 사례분석을 통해 캐릭터별 퀘스트플레이 과정에서의 차이를 QUG(Quest Unit Graph)로 시각화하여 직관적인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기존 연구가 캐릭터별 성취(achievement)관점에서의 수치적 밸런스 대한 것에 반해, 본 논문은 내러티브 구조 관점에서 퀘스트플레이 인터랙션에 대한 시각화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기획자의 퀘스트 경험설계를 사전 예측해 볼 수 있다.

A game designer is the initial design of the quest based on narrative. It is important that to predict game character of play experience to establish these static content. This paper deal with player's affective interaction distinguishing among game characters are perform quest-play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 status. To achieve this, First of all, previous studies regarding pre-visualization of narrative structure for other visual media are reviewed. Secondly, it is specified that quest-play experience and player's cognitive behavior. At last, these features of status by character were pre-visualized with QUG(Quest Unit Graph), which could be represented differences in precess of quest-play through analysis on world of warcarft game. Previous research is about of numerical balance in terms of character's achievement, wherea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s proposed that visual model of quest-play interaction focused on narrative structure to predict game designer's architecture of quest experience.

저자
  • 김미진 | Kim, Mi-Jin
  • 김상우 | Woo, Kim-S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