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심즈2> 플레이어들의 담론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n Discourses of SIMS2 Player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28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이 시대의 청년문화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청년층이 주로 이용하는 미디어인 게임과 게임의 커뮤니티를 분석한다면 대중문화의 텍스트이해와 수용자 입장을 좀 더 의미있게 분석 할 수 있다. 미디어와 문화의 관계는 미묘한 상호작용의 중계여서 내용분석과 담론 분석을 통한 접근방법을 택하였다. 분석 대상은 플레이어들의 정체성이 투사된 육성 시뮬레이션게임 <심즈2> 에 대한 국내 커뮤니티이며 내용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으며 내용분석을 통해 심즈2 플레이어들이 이야기 하는 담론의 내용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내용분석에서 나타난 커뮤니티의 내용적 특성을 본 연구는 크게 자아실현및 정체성의 공방 그리고 젠더문제에서의 실험적인 대리만족과, 참여하는 게이머로 문화재생산으로의 의미가 있으며 가상소비의 확산, 반사회적 행위에 대한 성찰로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f we analyze games and game communities which are mostly consumed by the young, we can get the meaningful analysis result of youth culture. The content analysis and the discourse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culture was exquisitely reciprocal. The object of analysis is the domestic community of the simulation game, Sims 2, which reflects the identities of the game players. I was searching for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the game activities, and could find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of 'Sims 2' players' disco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ame media has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by providing the players a self-realization, identity workshop, virtual identity that diverges from their own ones with an alternative sex, constructing a cultural property with the involved game players, and increasing their virtual consumption and self-examination of antisocial behaviors in the game.

저자
  • 김종덕 | Kim, Jong-Deok
  • 송수현 | Song, Su-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