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군광산에서 산출되는 (Ca, Mg)-부서라이트의 화학조성과 탈수현상에 관한 연구 KCI 등재

Chemistry and Dehydration Behavior of (Ca, Mg)-buserite from the Janggun Mine, Korea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4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장군광산의 산화망간광석에서 자연산 (Ca, Mg)-부서라이트를 발견하였는바, 이는 퇴적 또는 변성기원이 능망간석의 표성 풍화에 의해 형성되었다. 부서라이트는 란시아이트와 함께 세립의 부서라이트-란시아이트 염편을 이룬다. 이 (Ca, Mg)-부서라이트-란시아이트는 엽상의 작은 결정으로 산출되나. 이는 세립의 다카넬라이트 집합체 주위에 침전되어 있다. 전자현미분석 결과, 장군 광산의 (Ca, Mg)-부서라이트는 (Ca.08Mg.07Mn.0562+)Mn.894+O2·1.46H2O의 화학식을 갖는다. 상대습도의 조절 및 가열에 의한 탈수실험과 상대습도 조절에 의한 재수화 실험에의하면, (Ca, Mg)-부서라이트는 90˚C에서 완전히 탈수되며 27%만이 재수화된다. 상대습도 26%에서의 (40℃로 가열한 경우와 일치하는) 탈수현상은 9.86a 회절선의 9.60a으로의 감소 및 강도의 감소로 특징지워진다. 이는 층간의 매우 약하게 결합된 물분자의 방출에 기인한다. 40℃에서 90℃까지의 가열에 의한 탈수현상은 001 회절선이 9.60a에서 7.42a까지 점이적 이동으로 특징지워진다. 이는 층간에 약하게 결합되어 있는 물분자의 방출에 의한 것이다.

The natural (Ca, Mg)-buserite has been identified from the manganese oxideores of the Janggun mine, Korea, which have been formed by supergene weathering of sedimentary-metamorphic rhodochrosite. It occurs together with rancieite forming one very fine-grained buserite-rancieite flake. This (Ca, Mg)-buserite-rancieite occurs as microcystalline flaky crystals. It precipitated around the fine-grained takanelite aggregate. Electron microprobe analyses give the formula (Ca.08Mg.07Mn.052+)Mn.894+O2·1.46H2O for (Ca, Mg)-buserite. The dehydration experiments by relative humidity control and heating as well as rehydration experiment by relative humidity control show that (Ca, Mg)-buserite dehydrates completely at 90℃ and rehydrates up to 27% of the original state. The dehydration at 26% RH (corresponding to heating to about 40℃) is characterized by thedecrease in the decrease in the intensity of 9.86a peak with slight shifting to 9.60a. It is due to the loss of weakly bound water molecules in the interlayer. The dehydration from 40℃ to 90℃ is characterized by the gradual shifting of 001 peak from 9.6a to 7.42a. It is due to the loss of weakly bound water molecules in the interlayer.

저자
  • 최헌수 | Choi, Hun-Soo
  • 김수진 | Kim, Soo-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