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벤토나이트광의 건식 정제 특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urification Chara00cteristics of Bentonite with Dry-Based Proc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6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파·분쇄, 체가름, 자력 및 비중 선별과 같은 건식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벤토나이트 광의 고순도화 특성을 고찰하였다. 시료로 사용한 감포 13호 및 감포 35호 시료의 CEC는 88.3, 93.3 meq/100 g이었으며, 석영, 장석과 같은 불순 광물을 함유하고 있었다. 벤토나이트를 구성하는 광물들의 물리적 특성차이를 이용한 정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몬모릴로나이트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이들의 복합 공정에 의한 처리 결과 고품위의 몬모릴로나이트를 회수할 수 있었다. 복합 공정에 의한 처리 결과, 감포 13호와 35호의 회수율은 각각 68.6, 45.9%이었으며 회수된 산물의 CEC 는 96.9, 109.6 meq/100 g으로 나타났다.

Dry-based processes such as crushing, milling, sieving, magnetic and gravity separation were employ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bentonite. The CECs of Gampo 13 and 35 bentonites were estimated at 88.3 and 93.3 meq/100 g and the samples contained quartz and feldspar as impurity minerals.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nstituent minerals of bentonite, the purification techniques were adopted to enhance the grade of montmorillonite High grade of montmorillonite could be obtained by the combination of each process. Consequently, the recovery of final products of Gampo 13 and 35 bentonite were 68.6 and 49.5%, and the CECs of them were 96.9 and 109.6 meq/100 g, respectively.

저자
  • 정수복
  • 김완태
  • 채영배
  • 임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