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극 지역 천열수 광상 열수변질대의 성인적 의미 KCI 등재

The Cenetic Implication of Hydrothermal Alteration of Epithermal Deposits from the Mugeuk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6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인리형 분지인 백악기 음성분지와 단층 접촉하는 무극 광화대는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을 모암으로 하여 배태된 금.은광상들로 구성된다. 무극 광화대내 금.은광상들은 북측의 무극광산으로부터 남측의 태극광산까지 서로 다른 금.은 품위비, 광석광물의 종류 및 산출 빈도 등을 보이며 열수변질대 분포 특성에 있어서도 상이한 공간적 분포특성을 보인다. 비교적 높은 금.은 품위비를 보이는 금봉광산은 복성맥의 구조를 보이며 석영맥으로부터 견운모대 → 아견운모대 → 프로필리틱대 → 아프로필리틱대의 열수변질대가 수평적으로 발달하는 특징을 보인다. 광화대 최남단에 위치하는 태극광산은 상대적으로 낮은 금.은비를 보이며 망상 세맥을 중심으로 프로필리틱대 → 아프로필리틱대의 순서로 열수변질대가 발달한다. 열수변질대의 수직적 변화는 대체로 변질대 하부에서 견운모대가 우세하나, 상부에서는 프로필리틱대가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점토대가 불연속적으로 중첩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열수변질대의 상이한 수평.수직적 분포 특성은 각 광산의 열수계의 차이를 반영한 것으로, 금봉광산은 비교적 고온.고염도와 물-암석 상호반응이 진행된 광화 유체로부터 견운모대가 형성되었으며, 태극광산은 상대적으로 저온 저염도와 물-암석 상호반응이 미약한 광화 유체에 의하여 프로필리틱대가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열수계의 차이는 각 광산이 열수계의 열적 중심(무극광산)에 위치하는지 또는 외곽부(태극광산)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열수변질대 분포 양상과 금.은비 분포 양상의 차이를 유도한다. 따라서 무극 지역 탐사시 열적 중심부에 해당하는 고온의 지온 구배가 형성되는 지역과 물-암석 상호반응에 의한 견운모 변질작용이 우세한 지역을 고품위대 탐사 지침으로 제시할 수 있다.

The Mugeuk mineralized area that associated with the pull-apart type Cretaceous Eumseong basin is composed of several gold-silver vein deposits that are emplaced in late Cretaceous biotite granite. The gold-silver deposits in the area show various hydrothermal alteration zones as well as Au/Ag ratios and ore mineralogy. The Geumbong mine showing relatively high gold fineness is composed of multiple veins and show alteration pattern; vein → phyllic → subphyllic → propylitic → subpropylitic zone. In contrast, The Taegeuk mines show the low fineness values, in far southern part are characterized by increasing tendency of simple and/or stockwork veins. The deposit displays alteration pattern; vein → propylitic → subpropylitic zone. Variations of alteration zone with depth show that phyllic zone are dominant in deeper level and propylitic zone sporadically overlapped by argillic zone are dominant in shallow level. The differences of alteration pattern between the gold-silver deposits are reflect the evolution of the hydrothermal fluids; the ore-forming fluids of the Geumbong mine are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highly-evolved meteoric water, developing phyllic zone, the Taegeuk mine containing greater amounts of less-evolved meteoric waters shows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salinity in ore-forming fluids, developing propylitic zone. The various physicochemical environment for gold-silver mineralization in the Mugeuk mineralized area is due to proximity from heat source area (Mugeuk mine) to marginal area (Taegeuk mine) in a geothermal fiel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riteria for project exploration in the area are to focus on the area proximal to heat source and phyllic zone.

저자
  • 박상준
  • 최선규
  • 이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