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군광산과 동남광산에서 산출되는 부서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 KCI 등재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Buserite from the Janggun and Dongnam Mines, Korea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68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장군광산과 동남광산에서 산출되는 부서라이트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 전자현미분석, 열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장군 광산과 동남 광산에서의 부서라이트는 망간탄산염광상의 표성 산화 작용에 의해 형성된 산화망간 광석 내에 란시아이트와 함께 산출된다. 전자현미분석결과 장군광산 부서라이트의 화학 조성은 (Ca0.78Mg0.64Mn2+0.45)Mn4+8.03O18·13.2H2O이며 동남광산에서 산출되는 부서라이트는 (Zn0.81Ca0.77Mg0.26Mn4+8.00O18·10.9H2O이다. 장군광산의 부서라이트의 저면 격자 간격은 40℃에서 9.86 a이며, 90℃에서는 7.60 a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동남광산에서 40℃부터 90℃까지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점진적인 회절선의 이동은 나타나지 않고 9.67 a의 회절선의 강도는 감소하고 7.53 a의 회절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X-ray diffraction (XRD), Electron microprobe analyses (EPMA) and heating experiments were used for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natural buserites collected from the Janggun and Dongnam mines. They are closely associated with 7-a phase (usually rancieite) in manganese oxide ores of the supergene oxidation zones of manganese carbonate deposits. Electron microprobe analyses give the average formula (Ca0.78Mg0.64Mn2+ 0.45)Mn4+ 8.03O18·13.2H2O and (Zn0.81Ca0.77Mg0.26)Mn4+ 8.00O18·10.9H2O for buserite from the Janggun and the Dongnam mine, respectively. The basal reflection of buserite from the Janggun mine shifts continuously from 9.86 a at 40℃ to 7.60 a at 90℃, but the buserite from the Dongnam mine shows tendency of decreasing intensity in the 9.67℃ peak and of increasing intensity in the 7.53 a peak in the range of 40∼90℃, showing no gradual shifting of peaks.

저자
  • 최헌수 | Choi, Hun-Soo
  • 김수진 | Kim, Soo-Jin
  • 김정진 | Kim, Jeong-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