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기층군의 함탄층에서 산출되는 흡착기능성 광물 자원의 부존 환경 및 자원잠재성 평가 KCI 등재

Mineralization Environments and Evaluation of Resources Potentials for the Absorbent-functional Mineral Resources Occurred in the Coal-bearing Formation of the Janggi Grou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7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쇄설성 퇴적층 위주의 퇴적상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영일 지역 장기층군의 함탄층 내에 실제로는 상당한 규모의 화산쇄설성 퇴적암류가 혼재된다. 전체적으로 이 함탄층은 화성쇄설성 암상과 단순 쇄설성 암상이 교호되는 양상을 보인다. 부석편을 함유하는 응회암과 응회질 사암이 함탄층의 특징적인 화산쇄설성 암상을 이룬다. 상 하부 함탄층의 화산쇄설성 암석에서 속성기원으로 산출되는 변질광물로는 몬모릴로나이트와 클리놉틸로라이트가 주된 광물상을 이루고 여기에 단백석과 석영이 수반된다. 광물조성과 양이온 치환능력 면에서 일부 층준에서는 응회질 암석들이 저품 위 제올라이트나 벤토나이트 광층을 이룬다. 또한 대부분 1 m 미만의 박층을 이루기 때문에 전형적인 제올라이트나 벤토나이트 자원으로서의 유용성과 잠재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인접하는 이들 광층들이 함께 개발될 수 있다면, 광물조성과 CEC 수치 면에서 산성백토와 같은 흡착기능성 광물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평가된다.

In the coal-bearing formations of the Janggi Group, which are reported as typical clastic sediments, several beds of volcaniclastic rocks are actually found in the Yeongil area. The coal-bearing formations generally exhibit alternating lithologic characteristics of pyroclastic and epiclastic sedimentary facies. Tuff and tuffaceous sandstone rich in pumice fragments are characteristic in the coal-bearing fermations. Diagenetic minerals found in the pyroclastic rocks of the upper and lower coal-bearing formations are montmorillonite, clinoptilolite, opal-CT, and quartz. Several tuffaceous beds correspond to the low-grade ores of zeolites and bentonite, and moreover, these ores mostly occur as thin beds less than 1 m in thickness. Thus, the potential of altered tuffaceous rocks as the resources typical of zeolite and bentonite seems to be low. However, based on mineral composition and CEC determinations, it can be evaluated that these tuffaceous rocks mostly have the promising potential for utilization as the absorbent-functional mineral resources such as acid clays, if these low-grade ores plus adjacent tuffaceous rocks are collectively exploited.

저자
  • 노진환 | Noh, Jin-H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