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댐과 임하댐 유입수의 탁도 및 부유고형물의 농도변화는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강우강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 및 부유고형물의 농도는 임하댐유역이 안동댐 유역에 비해 높으며, 임하댐 유역에서는 반변천 유역이 용전천 유역보다 높게 나타난다. 강우로 인한 탁도 발생 후 시간에 따른 입도분포와 구성광물은 안동댐과 임하댐 모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X-선회절분석 결과 탁도유발물질의 구성광물은 버미큘라이트, 일라이트, 카올리나이트, 석영, 사장석으로 안동댐과 임하댐의 광물 조성은 유사하지만 각 광물의 함량은 차이가 난다.
Changes of turbidity and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of inflow tend to be very similar in Andong and Imha dam, and show significant effect on the amount of rainfall. Concentrations of suspended solid and turbidity in Imha are higher than these of Andogn dam, and Banbyon have higher values than that of Yongjeon stream in Imha dam. There is no difference in size distribution and mineral composition of the suspended particles in Andong and Imha dam. The turbidity-causing materials are composed of vermiculite. illite, kaolinite, quartz and albite. X-ray diffraction analysis shows that turbidity-causing materials are have similar mineralogy between Andong and Imha Dam, but they have different abund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