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남일원 납석광상의 광물학적 특성과 효과적 탐사를 위한 Key Beds의 선정 KCI 등재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ation of Key Beds for the Effective Surveys of the Jeonnam Pyrophyllite Deposi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83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전남지역에서 산출되는 납석은 좁은 의미의 납석(pyrophyllite)뿐 아니라, 고령토, 백운모, 석영 등을 포함하는 저급으로서 상업적으로 도석으로 분류되는 비금속광석류까지 포함한다. 납석광체와 주변 암층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를 통하여 비슷한 시기에 분출된 유사한 화산변질물도 지질조건에 따라 납석이 생성되거나, 혹은 고령토로도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납석광상에서는 또 다른 부성분 광물로 다이어스포에 비해 강옥이 흔히 산출되며, 다이어스포는 고령토를 소량으로 포함하는 납석광상에서 좀더 흔하여 강옥으로 가는 중간산물로 추정된다. 납석광상과 달리, 고령토광상에서는 강옥과 다이어스포가 확인되지 않으나, 고령토광체의 상단부에서는 심화점토화작용에 의한 명반석(alunite)의 산출이 흔한 편이다. 연구 지역에서 최하부에 위치한 광체를 포함하는 응회암층은 최상단부에 저색 응회암을 협재하며, 상부로 가면서 규화대층, 담백색 미세 응회암층 및 암설 응회암층 등이 확인되며, 이들 각 암층의 광물조성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 즉, 지질시대가 젊어짐에 따라 납석/고령토함량이 감소하거나 거의 확인되지 않기도 하며, 백운모는 다소 증가하고, 사장석류와 석영은 상대적으로 양은 풍부하나 원래 암석에 포함된 것들이다. 전남지역의 납석/고령토광체는 대체적으로 층리가 뚜렷하여 연장 확인에 어려움이 없기도 하지만, 괴상으로 나타나는 지역에서의 효과적 탐사를 위해서는 암상과 연장성이 확실히 구분되는 지층(건충; key bed)의 선정이 필요하다. 납석/고령토광체의 상부에 오는 규화대층과 저색 응회암층은 야외조사에서 건층으로 이용될 수 있는 특징이 확실하다.

Ores of the Jeonnam pyrophyllite province mainly consist of not only pyrophyllite but also kaolinite, and they usually contain minor amounts of muscovite and quartz. We usually call them as porcelaneous stones which usually show lower grade characteristics in the viewpoint of Korean nonmetallic industries. Mineralogical studies for the ores and their intimate formations revealed that another kind of clay minerals could have been produced from the volcanic sediments with similar ages and compositions. Corundum is commoner than the diaspore in the pyrophyllite deposits, and so diaspore can be regarded as one of temporary minerals from which corundum would be finally formed. Kaolinite deposits contain neither diaspore nor corundum, but alunites produced by an advanced argillic alteration are often observed in the upper portions of the kaolin ores. The lowest formation interbedded with pyrophyllite and/or kaolinite ores usually contain purple tuff bed on the uppermost part, and in ascending order, siliceous formation, fine ash tuff and lapillistone are found in the study areas. As ages are becoming younger, amounts of pyrophyllite and kaolinite are radically decreased, or disappeared completely. On the other hand, content of muscovite is slightly increased, and those of plagioclase feldspars and quartz are found to have been preserved from the original rocks during alteration process. Most of ore bodies show rather well bedded formations which are easily discernable in the outcrops, but more effective discremination is desirable where rather massive ores exist. Siliceous beds and purple tuff ones on the upper part of ore bodies would be useful as marker horizons or key beds which have distinct lithologies and extensions.

저자
  • 유장한 | Yoo, Jang-Han
  • 김용욱 | Kim, Yong-Ug
  • 이길재 | Lee, Gill-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