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 화산쇄설암의 불석광물 KCI 등재

Zeolites in the Volcaniclastics of Jeju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8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제주도 응회구 및 응회환과 지하 서귀포층 화산쇄설암에서 화산유리 변질산물로서 불석광물들이 생성되었다. X선회절분석과 전자현미화학분석으로 확인된 주요 불석광물은 필립사이트와 아날심이다. 아날심과 필립사이트의 Si/(Si+Al) 원자비는 모물질인 현무암 유리와 유사하다. 아날심의 화학조성은 매우 단순하지만, 필립사이트는 구조 내 공극 양이온들의 비율이 매우 다양하다. 아날심이 산출되는 당산봉 및 용머리 응회암에서는 Na, 그리고 시추코아에서는 K와 Ca가 필립사이트의 주요 공극양이온이었다. 변질조직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필립사이트가 먼저 침전되고, 후기에 아날심이 충전하였다. 제주도의 여러 응회환/구 중에서도 층서적으로 가장 오래된 당산봉과 용머리 응회암에서 지표수와의 오랜 반응으로 불석광물들이 다량 생성되었고 비교적 연대가 젊은 다른 응회환/구에는 볼석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Zeolites were formed by the alteration of volcanic glass in the volcaniclastics including tuff cone/rings and subsurface Seoguipo Formation, Jeju Island. Phillipsite and analcime were identified by X-ray diffraction and electron microprobe analysis. Si/(Si+Al) atom ratios of analcime and phillipsite were similar to that of parent basaltic glass. In comparison with the simple chemistry of analcime, phillipsite showed a range of cavity cation compositions. Na is the major cavity cations of phillipsite in the Dangsanbong and Yongmeori tuffs bearing analcime, while K and Ca in core samples of Seoguipo Formation. Microtextural analysi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ed a general sequence that early phillipsite encrustification of pores was followed by later analcime infilling. Zeolites are abundant in the older tuff cone/rings but nearly absent in the younger ones.

저자
  • 정기영 | Jeong, Gi-Young
  • 손영관 | Sohn, Young-Kwan
  • 전용문 | Jeon, Yong-M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