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퇴적물 내 석영의 광여기 루미네선스 특성과 미량원소 조성 KCI 등재

Trace Element Compositions and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Quartz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87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석영의 광여기 루미네선스(OSL)를 이용한 제4기 퇴적물의 연대측정이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석영시료가 OSL 연대측정에 적합하지는 않다는 사실도 잘 알려져 있다. OSL 연대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적용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석영시료별로 다양한 OSL 신호 특성의 원인에 대한 광물학적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러한 광물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전혀 다른 지질 및 지표 환경에서 채취한 퇴적물 시료로부터 분리한 석영을 대상으로 OSL 신호특성 분석과 레이저삭마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LA-ICP-MS)을 이용한 미량원소 조성분석을 실시하였다. OSL 신호분석 결과, 석영시료는 연대 측정에 적합한 신호특성을 갖는 시료와 부적합한 시료로 명확히 분리할 수 있었다. 미량원소조성분석 결과, Al (평균 73~267 ppm)과 Ti (평균 61~248 ppm)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외 Li, Mg, Cr, Mn, Fe 등이 40 ppm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석영 시료간 OSL 특성의 명확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에 상응하는 미량원소함량의 뚜렷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시료별로 다양한 OSL 신호 특성이 미량원소가 아닌 석영의 다른 광물학적 원인에 기인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향후 보다 많은 시료 분석으로 확인되어야 한다.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of quartz is commonly applied to the age dating of Quaternary sediments. However, one of the issues is that some of the quartz samples are not suitable to OSL dating. Mineralogical analysis of the quartz samples with diverse OSL signals are required to strengthen the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OSL dating. We analysed the OSL sign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quartz samples from diverse geological environments and measured their trace element contents using laser-abla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LA-ICP-MS). Quartz samples could be grouped into ones suitable to OSL dating and ones unsuitable on the basis of their OSL signal characteristics. The average trace element contents ranged from 73 to 260 ppm (Al), and from 61 to 248 ppm (Ti) with minor Li, Mg, Cr, Mn, and Fe contents below 40 ppm.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variation of trace element contents of quartz samples consistent with their OSL signal characteristics. This indicates unknown mineralogical factors causing diverse OSL characteristics which should be confirmed by further analysis of sufficient set of samples.

저자
  • 정기영 | Jeon, Gi-Young
  • 최정헌 | Choi, Jeong-Heon
  • 길영우 | Kil, Young-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