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울릉도 조면암질 유리의 변절에 의한 할로이사이트의 생성 KCI 등재

Halloysite Formation by the Alteration of Trachytic Glass in Ulleung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8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울릉도의 조면암질 응회암의 저온변질작용으로 할로이사이트가 생성되었다. 할로이사이트는 자연 상태에서 수화된 상태로 발견되었으며, 양파구조의 구상 또는 가장자리가 휘어진 판상 입자로 산출된다. 할로이사이트는 Si의 함량이 고령토 광물의 이상값보다 높아서 약간의 비정질이 혼재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할로이사이트의 높은 Fe 함량은 판상 할로이사이트 생성의 원인이다. 조면암질 유리가 변질되면서 용탈된 원소들이 주로 화산유리의 입간 공극에 할로이사이트로 침전되었으며, 유리를 교대한 Si가 풍부한 반구상 비정질 집합체도 부분적으로 구상할로이사이트로 변질된 것으로 보인다. 할로이사이트는 조면암질 화산활동이 활발했던 울릉도에서 화산재의 주요 변질물 중의 하나이다.

Hydrated halloysite was formed by the low temperature alteration of trachytic tuff in onion-like spherical or curly platy forms. The Si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of ideal kaolin minerals, indicating the possible presence of amorphous materials. The high Fe content is responsible for the platy morphology of halloysite. The leached ions precipitated as halloysite filling the interparticle pores, while trachytic glass was replaced by Si-rich amorphous materials in an hemispherical form, which was further evolved into spherical halloysite. Halloysite is one of the major alteration products of the volcanic ash in Ulleung Island underwent intense trachytic volcanism.

저자
  • 정기영 | Jeong, Gi-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