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09년 봄철 황사 단일 입자의 광물학 몇 혼합상태 KCI 등재

Single-Particle Mineralogy and Mixing State of Asian Dust, Spring, 2009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9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2009년 3월 17일 채집된 황사 총시료(TSP)의 개별 입자에 대하여, 고분해 주사전자현미경 및 에너지분산 X선 분광분석을 이용한 광물학적 특성 및 혼합상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황사 입자들 중, 석영, 사장석, K-장석, 각섬석, 흑운모, 백운모, 녹니석, 방해석 등은 비교적 조립질 입자로 산출되며, 이들 입자는 앓은 극미립 일라이트질 점토광물 층으로 피복되어 있다. 극미립 점토광물 입자들은 또한 개별 점토 덩어리를 형성한다. 조립질 방해석 외에 나노섬유 방해석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체로 큰 입자를 피복하거나 점토광물과 함께 덩어리를 형성한다. 입자의 주 광물에 따라 광물학적 분류를 실시하고 빈도를 구하였다. 이번 TSP의 단일입자 광물학적 특성 및 혼합상태는 기존의 PM10 분석 결과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The mineralogy and mixing state were investigated by the high resolu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combined with energy-dispersive X-ray analysis on particles of the total suspended solid (TSP) samples collected during the Asian dust event, spring, 2009. Relatively large particles were dominated by quartz, plagioclase, K-feldspar, amphibole, biotite, muscovite, chlorite, and calcite. Clay minerals usually occur as thin coatings on the coarse minerals or as aggregates. Calcite nanofibers are often admixed with clay platelets in the clay coatings and aggregates. Dust particle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ir main minerals. The single-particle mineralogy and mixing state of the TSP sample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PM10 samples in previous studies.

저자
  • 정기영 | Jeong, Gi-Young
  • 최호정 | Choi, Ho-Jeong
  • 권석기 | Kwon, Seok-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