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황해 남동 이질대 퇴적물의 점토광물분포 및 특성 KCI 등재

Clay Miner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Mud Deposi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9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황해 남동 이질대 51정점(북부 25정점, 남부 25정점)에서 채취된 표층퇴적물과 황해로 유입되는 하천퇴적물 30정점에 대해서 반정량 X선회절분석법에 의하여 점토광물의 상대조성을 구하였으며 일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점토광물 조성은 일라이트(61~75%), 녹니석(14~24%), 카올리나이트(9~14%), 스멕타이트(1~7%) 순으로 존재한다. 황해 남동 이질대의 북부 지역에서 카올리나이트 함량이 약간 높고, 스멕타이트 함량이 낮은 점을 제외하면, 북부와 남부 지역에서 점토광물 조성은 특별한 차이가 없다. 스멕타이트 함량은 일라이트 함량과 대체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일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징들인 일라이트 결정도(0.18~0.24 δ˚2θ) 역시 북부와 남부 사이에 차이가 없으며, 매우 좁은 범위 내에 속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황해 남동 이질대의 북부와 남부 퇴적물은 점토광물조성과 일라이트 특성이 거의 유사함을 지시한다. 황해 남동 이질대 퇴적물은 중국의 황하퇴적물보다 한국의 하천퇴적물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지만, 추후 양쯔강 퇴적물을 포함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점토광물 조성으로부터 황해 남동 이질대 퇴적물은 한국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하천으로부터 매우 많은 양이 유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황해 남동 이질대의 매우 많은 퇴적물 공급량과 높은 퇴적 속도는 퇴적물들의 침식과 재동에 의한 것으로 간주된다. 황해 남동 이질대 주변의 조류와 지역적인 해류가 이 지역의 침식과 퇴적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relative clay mineral composition of 51 surface sediments from SEYSM (Southeastern Yellow Sea Mud) (northern part 25, southern part 26) and 30 river sediments inflow to Yellow Sea using the semi-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es. In addition to we analyzed illite characteristics of the same samples. The clay-mineral assemblage is composed of illite (61~75%), chlorite (14~24%), kaolinite (9~14%), and smectite (1~7%), in decreasing order. The average composition of each clay mineral is not different from northern part to southern part of SEYSM except a little higher kaolinite and lower smectite content in northern part. Smectite content generally has reverse relationship with illite content.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illite such as illite crystallinity index also is not different between two areas and show very narrow range (0.18~0.24 δ˚2θ). Our results reveal that clay mineral composition and illite characteristics are nearly the same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part of SEYSM.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SEYSM is closer to Korean river sediments than Chinese Hanghe sedimen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further study including Yangtze river sediments. This study conclude that most of surface sediments in SEYSM attribute to the supply of considerable amount of sediments from the nearby Korean rivers. The large sediment budget and high accumulation rate in the SEYSM can be explained by erosion and reworking of surface sediments in this area. Tidal and regional current system around SEYSM might contribute these erosional and depositional regimes.

저자
  • 조현구 | Cho, Hyen-Goo
  • 김순오 | Kim, Soon-Oh
  • 이희일 | Yi, Hi-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