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6가 크롬과 유기탄소와의 반응에 따른 광물학적 지구화학적 변화 KCI 등재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nges During the Reaction of Cr(VI) with Organic Carb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96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유기탄소와 Cr(VI)와의 반응을 연구하여 위하여 컬럼 실험을 실시하였다. 컬럼 실험은 거름토의 유기탄소와 수용액 속의 Cr(VI)와의 반응 후 시간별로 채취한 컬럼의 유출수와 반응 후 컬럼에 남은 고체물질에 대하여 화학분석과 SEM 관찰을 실시하였다. 컬럼에 공급된 Cr(VI)은 초기 유출수에서는 검출되지 않다가 약 8 PV (pore volume) 후 급격한 농도 증가를 보이며 공급수의 농도(20 mg/kg)까지 높아져 본 실험 조건에서 초기에 유기탄소와 Cr(VI)과의 반응에 의하여 일정 기간 동안 제거됨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유출수에서 측정된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는 PO4를 제외하고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대부분의 이온들이 공급수에는 검출되진 않았거나 매우 낮은 농도임을 감안하면 이 이온들은 주로 유기탄소에서 유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SEM 관찰결과 Cr은 유기탄소 표면에 Fe와 함께 공침되었음을 보이고 일부 침전물에 Mn, Ni, Co 등과 같은 금속들이 함께 함유되어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유기탄소 표면의 환원환경에서 Cr(VI)가 환원이 되어 Cr(OH)3로 침전되면서 Fe(OH)3와 같이 공침하였음을 보여주며 Fe의 존재가 Cr의 침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함을 지시한다. 추후 용해성 Fe와 Mn과 같은 원소들이 더 이상 용출되지 않으면 Cr(VI)는 더 이상 침전 반응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다른 이온들과 달리 PO4의 경우 초기 유출수에서 감소를 보이고 추후에 농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유기탄소에 포함되어 있던 PO4가 유출된 후에 Cr과 Fe의 침전물에 효과적으로 흡착이 되고 침전물이 더 이상 생성되지 않게 되면 원래 유기탄소로부터 용해되어 나온 PO4의 농도로 회귀되어 일정한 값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A colum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reaction of Cr(VI) with organic carbon. Chemical analysis for the effluent collected at different times after the reaction of Cr(VI) with organic carbon in compost and SEM observation for the solid samples remaining after the reaction were conducted. Cr(VI) supplied to the column was not detected in the effluent from column at initial stage, but the concentration of Cr(VI) increased abruptly and maintained the initial supplied concentration (20 mg/kg), indicating that Cr(VI) was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solution at the first state. In general, the concentrations of cations and anions with the exception of PO4 increased and decreased again. Considering that most of these ions were not detected or showed very low concentration, these ions are considered to originate from the organic carbon in the column. SEM observation showed that Cr was coprecipitated with Fe on the surface of organic carbon with small amount of other metals such as Mn, No, and Co. This indicated that on the reduction condition on the organic carbon, Cr(VI) was reduced to Cr(OH)3 and coprecipitated with Fe(OH)3, and that Fe is very important in the precipitation of Cr. After the soluble Fe and Mn are not dissolved any more, Cr(OH)3 is not precipitated. Different from other ions, the concentrations of PO4 decreased and increased, which wa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he release of PO4 from organic carbon and sorption on the precipitates. After the maximum sorption on the precipitates and no further release of Fe, the concentration of PO4 returns to its original value measured for the ones released from the organic carbon.

저자
  • 김영규 | Kim, Yeongkyoo
  • 박영규 | Park, Young-G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