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어도 생태수리실험에 의한 회유성 어류의 소상능력 평가(II) - 계단식 어도 - KCI 등재

Assessment of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Fishways by Eco-hydraulic Experiments (I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8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어도 생태수리실험에 의하여 계단식 어도에서 회유성 어류의 소상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은어와 송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기존 계단식 어도 설치 하천의 회유성 어류 이동생태환경을 분석하였다. 계단식 어도에서 은어의 소상능력은 낙차가 16.0cm미만으로 작을 때는 송어보다 크고, 20.0cm이상으로 낙차가 클 때는 송어의 소상능력이 은어보다 크다. 은어는 송어보다 도약을 선호하며 도약 후의 지구력은 송어가 은어에 비하여 크다. 수계별 기

This is to evaluate the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the pool and weir type fishways. Ascending environment of the migratory fish in rivers is analyzed through eco-hydraulic experiments using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trout, Oncorhnchu

저자
  • 박상덕 | Park Sang-D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