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고속도로 장기공용성 조사구간의 파손자료와 기후자료 및 포장물성 자료를 이용하여 줄눈 콘크리트 포장의 스폴링 모형이 개발되었다. 줄눈 콘크리트 포장 장기공용성 조사구간 22개소의 스폴링 파손 상태가 1999년과 2004년에 각각 조사되어 총44개의 스폴링 파손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각 위치에서의 기후자료 및 포장의 형태 및 물성 자료 또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의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스폴링 발생에 영향이 큰 인자들을 찾아내었으며, 그 인자들을 다중 회귀분석하여 스폴링 파손 모형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스폴링 모형은 외국의 모형과 비교할 때 합리적인 스폴링 발생 추이를 보였다.
A spalling model for jointed connote pavements(JCP) was developed using the data of distresses, climates, and materials at the sections of long-term pavement performance(LTPP) investigation. The total of forty-four spatting distress data was collected at twenty-two JCP LTPP sections in 1999 and in 2004. In addition, the data of climates, geometric shapes of the slabs, and material properties was also collected at those times.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spalling distress were found by a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data. Consequently, a spatting model was developed by a multi-regression analysis for the factors. The model showed reasonable trend of the spatting development comparing to other foreign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