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타설 직후 건조하는 콘크리트의 표면습도 모형 KCI 등재

A Surface Humidity Model of Drying Concrete Immediately after Plac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94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도로학회논문집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한국도로학회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초록

콘크리트 내부의 습도분포와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양생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콘크리트의 습도는 주로 표면습도를 경계조건을 사용하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예측된다. 하지만, 표면습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거의 모든 수치해석에 표면습도 대신 대기습도를 사용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표면습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일련의 실내실험을 통하여 측정된 대기습도와 콘크리트의 내부 및 표면습도를 보여준다. 이와는 별개의 실험을 통하여 타설 직후의 콘크리트가 낮은 습도를 나타내는 원인을 조사하였다. 측정된 습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습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추가적인 실험을 통하여 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Predicting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humidity inside concrete is essential to improve curing quality of concrete at field. The concrete humidity is predicted by numerical analysis using surface humidity as boundary condition. However, ambient humidity has been used instead of the surface humidity because the surface humidity could not be ccurately measured. Because it is hard to accurately measure the surface humidity, owever, the ambient humidity has been used instead of the surface humidity in the numerical analysis. In this paper, a methodology to accurately measure the surface humidity is suggested, and the ambient humidity and the humidity at the surface and inside the concrete measured by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are presented. The cause of low concrete humidity immediately after placement was investigated by a separately performed test. A surface humidity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measured humidity, and consequently validated through an additional test.

저자
  • 정진훈 | Jeong, Jin-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