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형도, 해도 및 위성영상을 이용한 방조제 축조 후의 간석지 면적 변화 추정 KCI 등재

Estimating the Variations of Tidal Flat Areas after the Seawall Construction from Topographic Maps, Hydrographic Charts, and Satellite Im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9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형도, 해도,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아산만과 천수만 지구를 대상으로 방조제 축조 후 의 간석지 면적을 추정하였다. 지형도를 이용한 방조제 축조 후의 간석지 면적의 산정 결과는 아산만 지구와 천수 만 지구 모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이는 지형도의 제작시 항공사진 촬영시간의 조위를 감안하지 않은 결과로 평가된다. 해도의 분석 결과, 아산만 지구와 천수만 지구의 방조제 준공후 연평균 간석지면적은 각각 22.2 ha/yr, 5

The objective of the paper was to estimate the changes in acreages of tidal flats after the seawall construction at the Asan Bay and the Chunsu Bay from topographic maps, hydrographic charts, and Landsat TM images. The tidal floats from topographic maps p

저자
  • 강문성(서울대학교 농공학과) | Gang Mun-Seong
  • 박승우(Dept.of, Agricul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Park Seung-U
  • 김상민(서울대학교 농공학과) | Kim Sang-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