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로설계 적정화를 위한 새로운 지형구분에 관한 연구 KCI 등재

Development of a New Terrain Type Classification to be used in Highway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95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도로학회논문집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한국도로학회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초록

우리나라는 그동안 사회기반시설로서 도로역할을 중시하여 도로부문에 매년 대규모 예산을 투입했다. 그 결과 개발이 용이한 평탄지를 중심으로 한 국가 기간 도로망 체계 확보에 결실이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 지속적인 도로망 체계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산악지형과 같은 고비용이 들어가는 지형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개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지형은 도로 설계속도 결정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입력변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도로설계기준상에는 지형구분을 위한 명확하고 객관적인 판단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계속도가 부정확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지형구분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고도 및 경사 그리고 주행속도 자료를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지형구분을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GIS data를 이용하여 고도와 경사도에 따라 지형을 9가지 AREA로 분류하였으며, 지형분류 data(AREA)와 주행속도 자료를 matching하여 분석한 결과, AREA의 분류에 따른 특성이 주행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고도와 경사도에 따른 지형분류와 지형분류에 따른 그룹 간 주행속도의 유의성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해서 평지, 구릉지, 산지로 우리나라 지형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한 주행 속도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지방도나 군도등 기능이 다른 도로에 대해서는 적용상의 한계가 있으나, 향후 도로건설시 도로가 통과하는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 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public of korea has put a great emphasis on the role of the road as widening a social infra-structural facility. Thus, vast amount of money has been invested on the road establishment. As a result, there has been fruitful outcomes in establishing the road system of the nation especially for the flat road with ease. However, in order to have more systematic and sustainable road system, we should turn our attention to more painful and high-cost regions such as mountainous districts and those are to be developed eff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the road is an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in making a decision for the road planning. Nevertheless, current road planning criterion has no such clarified and objective judging standard for figu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ad out and, as a result, speed planning can be decided incorrectly. our research ha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estim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ad and aimed to make it organized and sorted according to the height, slope, and the vehicle's spe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r research made use of GIS data and classified the road into 9 different areas according to the height and the slope. Also, road classification being matched to the data of vehicle's speed, it has been shown that thos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reas have made an influence on vehicle's speed. Second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imilarity between geographical classification and, vehicle's speed of sorted groups according to the height and the slope, conclusively we have classified as flat, rolling region and mountain. Since our research has made use of vehicle's speed for National Highway, it is not applicable to different functional highways. However, for the highway to be established hereafter, it can be a standard for reflecti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저자
  • 김상엽 | Kim, Sang-Youp
  • 최재성 | Choi, Jai-Sung
  • 이승용 | Lee, Seung-Yong
  • 한형관 | Han, Hyung-G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