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별 특성화 온실의 실태 및 구조적 안전성 KCI 등재

Analyses of Actual State and Structural Safety of Regionally Characterized Greenhouse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19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지역별로 분포하고 있는 특성화된 온실의 장점을 살리고 구조적인 위험요소를 줄임으로서, 지역특성온실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특성화된 온실의 구조실태를 조사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남지방에 특성화된 온실의 보급이 많았으며, 광폭형하우스와 대형 단동 파이프하우스가 이 지역의 특성화된 온실로서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경남 김해의 목재하우스, 전남 구례의 트러스형하우스, 강원 평창의 돔형 파이프하우스, 충북 옥천의 포도재배하우스 등이 특징적인 온실로 나타나고 있었다. 3. 광폭형하우스, 트러스형하우스, 돔형 파이프하우스 및 포도재배하우스는 15-30년 빈도의 풍하중과 설하중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형 단동 파이프하우스는 약간의 보강이 필요하며, 목재하우스는 매우 불안정하여 사용을 중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대상온실의 기초는 모두 30년 빈도의 강풍에 대하여 충분한 인발저항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Recently, regionally characterized greenhouses have been built every place around the country. These greenhouses insist of their higher performance by considering regional merits than the greenhouses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ones, but it is not 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ly characterized greenhouses through the analyses of actual state and structural safety. The greenhouses were investigated and classified into wide span house, large pipe house, arched lattice house, wooden house, viniculture house, and domed pipe house. The frames of wide span house, arched truss house, viniculture house and domed pipe house were analyzed to be structurally stable under the design wind speeds and snow depths in recurrence intervals of 15 or 30 years, but large pipe house was a little unstable and required some reinforcements, and wooden house turned out to be unstable. In addition, foundations of all characterized greenhouses were stable against pull - out capacity under the design wind speeds in recurrence interval of 30 years.

저자
  • 김문기
  • 남상운
  • 손정익
  • 윤남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