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온실재배 토마토의 농직경 변화에 의한 관개시기 진단 KCI 등재

Diagnosis of Irrigation Time Based on Microchange of Stem Diameter in Greenhouse Tomat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0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온실재배 토마토에서 경직경의 경시적 변화와 식물체내 수분, 토양수분, 증산 및 일사량 등과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토마토 경직경의 monitoring에 의한 관개시기 진단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스트레인게이지로 제작한 경직경 미소변화 측정장치와 load cell을 이용하여 각각 경직경 변화 및 지상부 생체중의 변화를 1996년 7월 1일부터 16일까지 10분 간격으로 계측하였으며, 또한 토양 수분함량, 증산, 일사량 등도 동시에 관측하였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충분한 관개를 하였으며 이후는 외관상으로 위조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매 관개를 하였다. 생체중과 경직경은 매우 유사한 일변화를 보였는데 해뜰 무렵인 오전 6시경에 최대치에 이르고 이후 일사량과 증산의 증대에 따라서 감소하기 시작하여 중산이 최대에 이르는 시각보다 다소 늦은 오후 3시경에 최저에 달하였다가 일사 및 증산의 감소에 따라서 다시 증대하여 경직경의 변화와 체내수분함량의 변화와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수분부족 증상이 없었던 날들의 일당 경직경 증가량(DI) 및 생체중 증가량(DG)은 일사량과 높은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수분부족장애를 받은 날들은 일사량에 따른 이들의 기대치보다 현저하게 낮아 생체중 및 경직경 증대가 매우 둔화되거나 오히려 감소하여 이를 기준으로 관개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험기간 중 7월 10일의 경우 외관상으로는 위조증상이 없었으나 증산량은 현저히 감소하여 식물체가 수분부족 상태였던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이 날 토중 l0cm 및 20cm에서의 토양수분 포텐샬은 -0.2bar 이상으로 전일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직경 및 생체중의 증가는 현저히 둔화되어 수분 부족을 잘 반영하였다. 한편 낮 동안의 생체 중 최대감소량(ML)과 경직경 최대수축량(MC) 역시 일사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여 일사량 및 증산량 증대에 따라 체내 수분 손실량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서 경직경이 감소하는 한계를 보였다. 그리고 식물의 수분장애가 심한 경우에는 일사량에 따른 이들의 기대치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나 수분장애가 미약한 경우에는 기대치와 구별하기가 어려워 이들을 기준으로 관개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관개시기의 판단에는 토양수분, MC 및 ML을 기준으로 하는 것보다 DG 또는 DI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Stem diameter and shoot fresh weight of tomato grown in greenhouse were measured non-destructively at 10 minutes interval from 1 to 16 July, 1996 with displacement detector using strain gauges and with suspension-type load cell, respectively, and simultaneously were measured soil water potential, transpiration and solar radiation. Ample water was irrigated before experiment, and thereafter, irrigations were made on the next morning when visual symptoms of wilting appeared. Shoot fresh weight and stem diameter showed very similar patterns in diurnal chang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predawn maximum and afternoon minimum and in long- term evolutions, suggesting that stem diameter shrinkage and expansion are closely related to plant water content and growth, respectively, Shoot weight and stem diameter reached minimum values a little later than the time on which transpiration showed maximum. The daily net gains of fresh weight(DG) and stem diameter(DI)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lar radiation in those days on which plants were not water-stressed. However, Dl and DG on those days of water stress showed much lower values than expected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solar radiation and them. Transpiration was much lower than the expected potential transpiration on 10 July, implying that plants were water-stressed. In this case water stress was not detected from visual symptom of wilting and/or soil water potential, but was able to be identified by the lower DI and DG than the expected. The maximum contraction of stem diameter(MC) and the maximum loss of fresh weight(ML) during daytim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lar radiation in those days on which plants were not water-stressed and were observed greater than expected from the relationships on severely water-stressed days. But mild water stress could not be discernable by ML and MC. It would be concluded that the daily net gains of fresh weight and/or stem diameter could be used as criteria for diagnosing the water status of tomato and for triggoring the onset of irrigation in automatic system.

저자
  • 이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