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단동 표고재배시설의 천창면적과 차광율에 따른 온도 및 환기특성 KCI 등재

Thermal and Ventilative Characteristics of Single-Span Oak Mushroom Production Facility as Affected by Area of Roof Opening and Shading Ra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0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표고버섯(Lentinus edodes(Berk) Sing)의 품질은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고, 특히 생산기간중의 강우에 의한 수분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 표고버섯이 강우에 의하여 젖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강우차단용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여 측창 환기구 이외에는 모두 밀폐시킨 재배시설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천창이 없는 재배시설의 실내온도와 습도는 불량한 환기로 인하여 상승하게 되고, 결국 생산성 및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을 이용하여 개선된 표고재배시설의 천창 면적과 차광율에 따른 환기율 및 실내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차광율이 50%에서 90%로 증가할수록 온도는 약 2.5℃ 이상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50%의 낮은 차광율에서 풍속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환기율은 풍속 1~2m.s-1 이상에서는 차광율에 관계없이 크게 증가하였다. 실외풍속이 0m.s-1에서 2m.s-1로 증가함에 따라 실내온도는 약 2℃이상 하강하였다. 특히, 천창개도가 커질수록 온도가 하강하였지만 개도 50%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차광율이 낮을수록 개도 증가가 온도하강에 미치는 영향이 뚜렸하였다. 풍속 및 차광율에 무관하게 천창면적과 측창면적이 거의 동일할 때, 높은 환기효율 및 온도하강 특성을 나타내었다.

The quality of oak mushoom(Lentinus edodes(Berk) Sing) is sensitively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especially moisture by the rain during the growing period. To protect mushrooms from being wet, plastic-covered facilities with side openings are mostly being used. However,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f the facility without roof opening become higher due to its poor ventilation, and consequently reduc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as well.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entilation rates and indoor temperatures of improved facilities as affected by the area of roof opening and shading rate by the model. The indoor temperature decreased by more than 2.5℃ as the shading rate increased from 50% to 90%, and especially the effect of wind speed on indoor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great under as low as 50% of shading rate. The ventilation rate became higher under wind speed of 1~2m.s-1 regardless of the shading rate. As the wind speed increased from 0m.s-1 to 2m.s-1, the indoor temperature decreased by more than 2.0℃. Moreover, the indoor temperature became lower with increasing roof opening ratio,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more than 50% of roof opening ratio. At lower shading rate, the indoor temperature sensitive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rea of roof opening. Additionally, we obtained the higher ventilation performance with the area of roof opening more or less equal to side opening, regardless of the wind speed and shading rate.

저자
  • 손정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