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기 이온의 농도가 고추 플러그묘의 생육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ionic Salt Strength on the Growth and Photosynthetic Rate of Pepper Plug Seedling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1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3,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풋고추의 육묘관리시에 최적 시비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무기이온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식물체의 생육과 광합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초장은 무기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길었으며, 표준농도인 1.0배를 시비한 것보다 2.0배의 고농도로 시비하였을 때에 ‘녹광’은 72%, ‘꽈리’는 18% 신장생장이 촉진되었다. 건물중은 ‘꽈리’의 경우에 무기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녹광’의 경우에는 고농도인 2.0배 처리시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엽록소의 함량은 무기이온의 농도가 2.0배까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광합성속도, 기공전도도 및 증산속도는 두 품종 모두 1.5배의 농도로 관주하였을 때에 가장 높았는데, 이때의 광합성속도를 비교하면 ‘녹광’은 8.74μmol.m-2 s-1, ‘꽈리’는 5.10μmol.m-2 s-1로서 생육이 왕성하였던 ‘녹광’의 광합성속도가 더 높았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optimal ionic salt strength in nutrient solution for small plug seedlings of ‘Nokgwang’ and ‘Kwari’ green pepper. Plant height increased with increasing ionic salt strength. total leaf area was 72% greater in ‘Nokgwang’ and 18% greater in ‘Kwari’with 2.0 ionic salt strength than that with 1.0 strength. Dry weight per plant tended to increase at higher ionic salt strengths in ‘Kwari’, but to decrease in ‘Nokgwang’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ionic salt strength in both cultivars.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were higher for plants fertilized with 1.5 strength than other strengths in both cultivars. Photosynthetic rate peaked at 8.74 μmol.m-2 s-1 in ‘Nokgwang’ and 5.70 μmol.m-2 s-1 in‘Kwari’with 1.5 ionic salt strength.

저자
  • Chong-Kil Ahn
  • Beung-Gu Son
  • Jum-Soon Kang
  • Yong-Jae Lee
  • In-Soo Park
  • Young-Whan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