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양액농도에 따른 관엽식물의 생육반응 KCI 등재

Growth Responses of Various Ornamental Foliage Plants to Nutrient Solution Strengt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5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양액농도에 따른 여러 관엽식물의 생육반응을 구명하여 양분관리의 기준을 설정하고 초기 생육을 촉진시키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재료로 벤자민고무나무, 관음죽, 필로덴드론, 스파티필럼, 아이비 등 많이 이용되고 있는 관엽식물들을 속별로 선택하였다. 화분에 식재한 관엽식물에 0, 1/4, 1/2, 1배액의 Sonneveld 분화전용양액을 저변관수하였으며, 28주 후 식물의 초장, 폭, 엽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관엽식물은 종류에 따라 영양요구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벤자민고무나무와 필로덴드론은 양액농도가 높아질수록 식물의 생육이 증진되었으나, 아이비와 스파티필럼은 1/4과 1/2배액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관음죽의 경우 l배액에서만 생육이 약간 증진되었고 1/4과 1/2배액에서는 무처리구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관엽식물의 엽내 무기이온을 정량한 결과 중 N, P, K 등이 생육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엽식물에 대한 관수와 시비의 기준들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고, 재배시 초기생육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 이 기간을 단축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런 점들을 보완하려고 하였고, 양액에 의해 식물의 생육도 증진됨을 알 수가 있었다. 적합한 양액농도로 관리해주면 생육이 빨라지고 품질도 우수해졌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lant growth of various foliage plants affected by the nutrient solution strength. Ficus benjamina, Hedera helix, Philodendron tatei, Rhapis excelsa, Spathiphyllum spp.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Sonneveld solution was diluted to 0, 1/4, 1/2, and 1 folds and applied through a subirrigation system. Plant height and width, leaf number, leaf area,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responses to the different treatments. The required amounts for nutrients were different among the various foliage plants. The growth of Ficus and Philodendron was improved as the nutrient solution strength got higher, but that of Hedera and Spathiphyllum showed the best growth in the lower nutrient solution strength of 1/4 and 1/2 folds. The growth of Rhapis was improved in the nutrient solution strength of 1 fold but the other treatments did not affect on plant growth. N, P, and K were the most important nutrients that had influence on the growth of the foliage plants in this study. There was not an accurate criterion for fertilization and irrigation to each foliage plant. Moreover, the foliage plants grew slowly during the early stage and this period must be shortened for commercial production. Therefore, the experiment was executed to make up these defects. The plants applied with proper strength of Sonneveld solution grew faster and had better quality.

저자
  • 심명선 | Shim, Myung-Syun
  • 권오근 | Kwon, Oh-K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