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당귀(當歸) 종자(種子)의 발아향상(發芽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층적(層積), 침종(浸種) 및 Gibberellin 처리(處理)가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KCI 등재

Studies on the Increase of Germin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I. Effects of Stratification, Soaking and Gibberellin Treatment on Germin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4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1989년(年)에 건국대학교(建國大學校) 실습농장(實習農場)에서 재배(栽培)하여 채종(採種)한 참당귀(當歸) 종자(種子)를 재료(材料)로 하여 층적(層積), 침종(浸種) 및 Gibberellin처리(處理)한 후(後) 발아상(發牙床)에 넣어 발아율(發芽率), 발아세(發芽勢) 및 발아계수(發芽係數)를 조사(調査)하여 발아율제고(發芽率提高)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층적처리(層積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무처리(無處理)보다 약(約) 30%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저온처리(低溫處理)의 효과(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침종처리(浸種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20℃, 4일(日) 침종구(浸種區)와 10℃, 6일(日) 침종구(浸種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환수처리(換水處理)는 무처리(無處理)보다 발아억제물질(發牙抑制物質)의 추출효과(抽出效果)가 컸다. 3. Gibberellin처리(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무처리(無處理)보다 약(約) 20% 증가(增加)를 나타내었으며, 침종구(浸種區)에서 2ppm, 무침종구(無浸種區)에서 5ppm에서 발아율(發芽率)이 가장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increase ofgermination percent by the treatment of stratification, soaking and Gibberellin(GA3) in Angelica gigas Seeds caltivated in 1989. The germination percent was increased by 30% with stratification, and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optimum soaking temperature and periods were found to be 4days at 20℃ and 6dys l0℃ of water temperature. When exchanged water every day during soaking period, inhibitors were more extracted than non-exchange one. The exogenous application of GA3 also increased germination percent about 20% campared with control, and the reasonable level was 2ppm in soaked seed and 5ppm in non-soaked seed.

저자
  • 조선행 | Cho, Seon-Haeng
  • 김기준 | Kim, Ki-Ju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