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성(土性)에 따른 시호(柴胡)의 생육(生育) 및 Saikosaponin 함량(含量) KCI 등재

Effect of Soil Textures on Growth and Saikosaponins Content in Bupleurum falcat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4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토성(土性)에 따른 시호(柴胡)의 생육특성(生育特性)과 saikosaponin 함량(含量) 변이(變異)를 조사(調査)하여 시호(柴胡) 재배(栽培)에 있어서 토성(土性)이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토성(土性)에 따른 시호(柴胡)의 생육량(生育量)은 사양토(砂壤土)와 양토(壤土)에서 양호(良好)하였고 근수량(根數量)은 사양토(砂壤土)에서 가장 좋았다. 2. 시호근(柴胡根)의 총(總) saikosaponin 과 엑스함량(合量)은 식양토(埴壤土)에서 가장 높았다. 3. 1년생(年生)과 2년생(年生) 모두 토성(土性)에 따른 생욱특성(生育特性)과 성분함양(成分含量)은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2년생(年生)의 생육(生育) 및 근수량(根收量)이 1년생(年生) 보다 높았으나 엑스 및 saikosaponin 함량(含量)은 낮았다. 4. 각(各) 생육요소(生育要素)와 엑스 및 saikosaponin 함량(含量)과의 교관분석(橋關分析) 결과(結果) 고도(高度)로 유의(有意)한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Bupleurum falcatum was cultivated in plots of different soil textures, which were sandy loam(SL), loam(L), and clay loam(CL). The growth charafters of shoot and root parts in SL and L plots were better than CL one, and root yield was the most excellent in SL one. But the contents of total saikosaponins and methanol extract in its roots were the highest in CL plot. In any soil textures, one and two year old plants showed almost the same results in growth characters and saikosaponins contents. The growth and root yield of two year old pla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one year old ones, but the contents of methanol extract and saikosaponins were lower. Flant characters were highly negative-correlated with the contents of saikosaponins and methanol extract.

저자
  • 채영암 | Chae, Young-Am
  • 소은희 | Soh, Eun-Hee
  • 김관수 | Kim, Kwan-Su
  • 성낙술 | Seong, Nak- S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