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잇꽃의 파종기(播種期)와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묵(收墨)에 미치는 영향(影響) KCI 등재

Effect of Sow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Safflow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50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잇꽃의 안전다수확(安全多收穫) 재배기술(栽培技術) 확립(確立) 일환(一環)으로 경기도농촌진흥원특용작물시험국장(京畿道農村振興院特用作物試驗國場)에서 중북부지역(中北部地域) 파종기(播種期) 설정(設定)과 P.E. 피복(被覆) 재배(栽培) 및 적정(適正) 재식거리(栽植距離) 를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播種期)가 10일 빠를수록 출아소요일수(出芽所要日數)는 3~4일(日), 개화기(開花期)는 2일(日), 성숙기(成熟期) 1~2일(日) 빨랐고 주당화두교(株當花頭敎)와 화두당립수(花頭當粒數)가 많았으며 100립중(粒重)도 무거웠다. 2. 파종기별(播種期別) 종실수양(種實收量)은 조파(早播)할수록 많아 파종적기(播種適期)는 해빙직후(播種適期)인 3월(月)20일(日)경(頃)으로 10a당(當) 종실수양(種實收量)은 86.0kg이었다. 3. P.E.피복(被覆) 재배(栽培)는 무피복(無被覆)에 비(比)하여 출아기(出芽期), 개화기(開花期)가 2~3일(日)빠르며, 주경장(主莖長), 분지장(分枝長)이 길고 주당분지수(株當分枝數)도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4. P.E.피복(被覆)이 무피복(無被覆)보다 m2당(當) 주수(株數)와 주당화두수(株當花頭數)는 많아 통계적(統計的)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고 재식거리간(栽植距離間)에는 모든 수양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가 유의차(有意差)를 보였다. 5. 10a당(當) 종보수양(種寶收量)은 P.E.피복(被覆)이 무피복(無被覆)(177,9kg/10a)에 비(比)하여 20% 증수(增收)되어 P E.피복재배(被覆栽培)가 유리(有利)하였고, 조간거리(條間距離) 70+30cm 2열(列)로 할때 주간거리(株間距離)는 무피복(無被覆) 재배시(栽培時) 10cm (20천주(千株)/10a) , P.E.피복 재배시(被覆 栽培時) 15cm (13.3천주(千株)/10a)가 적정(適正) 재식거리(栽植距離)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fiel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under non - or P. E. - mulching cultivation on growth and yield of safflower. The optimum sowing date for safflower in the central and northern area of Korea was March 20th directly after thawing of frozen soil. P. E. - mulching cultivation was profitable with increasing the kernel yield 20% higher than in non­mulching cultivation. With respect to the the planting density, non - mulching 50[×10cm(20.000plants per10are) and P. E. - mulching 50×15cm(13,330 plants per 10 are) were optimum respectively.

저자
  • 강승원 | Kang, Seung-Weon
  • 이장우 | Lee, Jang-Woo
  • 박경열 | Park, Kyeong-Y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