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당귀와 일당귀의 부위별 휘발성 정유성분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in Pla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 acutiloba Kitagaw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9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참당귀의 전초 (꽃봉우리, 줄기, 잎)와 뿌리의 정유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초의 정유 함량은 0.063%로 뿌리의 0.389%에 비해서 아주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성분에 있어서 전초와 뿌리의 정성적 차이는 없었으나, 함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휘발성 성분은 nonane, α-pinene, limonene + β-phellandrene이였으며, 이 중 nonane과 α-pinene의 경우 전초에서는 각각 7.5%와 14.6%이었으나, 뿌리에서는 각각 24.5%와 31.7%로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 γ-terpinene, germacrene-d, (E,E)-α-farnesene, β- eudesmol의 경우 전초에서는 5%에서 8% 사이로 나타났으나, 뿌리 에서는 1% 안팎의 적은 함량을 보였다. 참당귀와 일당귀를 분석한 결과 줄기와 잎에서 각각 0.068%, 0.127%와 0.153%, 0.243%로 정유의 함량은 일당귀가 더 높았고, 부위별로는 잎이 줄기의 약 2배 정도 높았다. 참당귀 줄기와 잎의 성분으로는 각각 18개, 32개로 잎에서 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분포되어 있었고,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α-pinene, myrcene, limonene, germacrene-d, eudesmol and butylphthalide로 잎에서 germacrene-d가 높았고, butylphthalide가 낮은 차이를 보였다. 일당귀줄기와 잎의 휘발성 정유 성분으로는 각각 21개, 32개로 참당귀와 같이 잎에서 더 다양했고, 성분은 γ-terpinene과 butylphthalide로 butylphthalide가 70%에 육박하는 주성분을 차지했다. 그러므로 Angelica gigas와 Angelica acutiloba는 관능적으로 확연히 다른 차이를 느낄 수 있지만, 분석결과로도 전혀 다른 향기성분임을 알수 있었다.

Volatile flavor compounds Angelica gigas Nakai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were extracted by SD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 extraction) using the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ether (1:1, v/v) as an extract solvent and analyzed by GC-FID and GC-MS. The amount of essential oils of top part and root in Angelica gigas were obtained in 0.063% (v/w) and 0.389% (v/w) yields as a fresh weight base, respectively. The main compounds in top parts and the root were identified as nonane (7.51% and 24.49%, respectively), α-pinene (14.64% and 31.75%), limonene+β-phellandrene (14.01% and 9.66%), γ-terpinene (7.85% and 1.20%), germacrene-d (5.85% and 0.22%), (E,E)-α-farnesene (6.05% and 1.40%), β-eudesmol (5.26% and 1.84%). Although these compounds were present in both parts. The results showed large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s of them much varied. The amount of essential oils stem and leaf obtained (0.068% and 0.127% in A. gigas) and (0.153% and 0.243% in A. acutiloba) yields as a fresh weight base, respectively. More than 18 and 32 components in stem and leaf have been identified, which of main components in A. gigas were α-pinene, myrcene, limonene, germacrene-d, eudesmol and butylphthalide, but germacrene-d and butylphthalide contents were also different in stem and leaf. And more than 21 and 32 components in A. acutiloba were γ-terpinene and butylphthalide. Volatile compounds were very different in both species.

저자
  • 조민구 | Cho, Min-Gu
  • 방진기 | Bang, Jin-Ki
  • 채영암 | Chae, Young-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