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마 유전자원의 지방산 조성과 감마리놀렌산 함량변이 KCI 등재

Variation on Fatty Acid Profile Including γ-Linolenic acid among Hemp (Cannabis sativa L.) Access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0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종실의 유분함량이 많아 유료작물로 전용이 가능한 대표적인 섬유작물인 대마 종실의 지방산조성의 분석을 통하여 감마리놀렌산 함유여부 및 함량과와 품종간 차이를 조사하였다. 45 수집종의 대마 종실에는 감마리놀렌산의 경우 평균 2.1%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중 IH4 등 7 품종이 3.1%~3.8%로 높으면서 경장이 31~122 cm로 작아 종실용 품종 육성재료로 유망시 되었다. 도입된 대마의 지방산 조성 변이에서 감마리놀렌산 비율 범위 및 변이계수는 각각 0.8%~3.8%, 42.9%로 품종간 변이가 가장 컸으나 리놀레산은 각각 51.4%~61.8%, 4.2%로 가장 적었다 개화일수와 경장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개화일수와 알파리놀렌산 비율 및 경장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 상관이었으며 환각성분인 THC와 다른 형질들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 팔미트산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상관, 올렌산과 알파리놀렌산 그리고 리놀레산과 알파리놀렌산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감마리놀렌산 함량이 높은 도입종들은 대체로 수집지가 중앙러시아 등 유럽이었고 개화일수가 29~44일로 짧았다.

Hemp is cultivated to produce fiber and seeds for extracting vegetable oi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reliable data on fatty acid profile including γ-linolenic acid (GLA) in seeds of hemp accessions with regard to suitability for both human nutrition and pharmaceutical purposes. 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including α-linolenic acid were high but saturated fatty acid including palmitic acid were low in the seeds of hemp accessions, perilla and evening primrose. The ratio of GLA in fatty acid profile of evening primrose and hemp seeds were 12.5% and 2.1 %, respectively but not detected in perilla seeds. In the fatty acid profile of hemp seeds accessions, the rang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GLA were 0.8%~3.8% and 42.9%, respectively which are highest among the fatty acid. Among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ratios, flowering date and α-linolenic acid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ut not showed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C (Tetrahydrocannabinol) and any fatty acids. Among the fatty acid ratios, negative correlation were showed between palmitic acid and γ-linolenic acid, and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leic acid and α-linolenic acid, linoleic acid and a-linolenic acid. The accessions of high GLA ratio were originated from Europe including Central Russia, and were short in flowering date and stem height.

저자
  • 문윤호 | Moon, Youn-Ho
  • 송연상 | Song, Yeon-Sang
  • 정병춘 | Jeong, Byeong-Choon
  • 방진기 | Bang, Jin-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