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삼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 생산에 미치는 NaCl의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NaCI on the Growth and Ginsenoside Production from Ginseng Hairy Roo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23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인삼의 생장에서 염류의 집적은 우량 인삼의 생산에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계 분리된 인삼의 우수 계통으로부터 NaCl 처리에 따른 생장율 조사와 ginsenosid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모상근(KGHR-8)으로부터 ginsenosides의 함량에 미치는 NaCl의 최적 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30일간 배양한 결과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상근의 생장은 감소하였지만, total ginsenoside의 함량은 0.24M NaCl 처리구에서 높은 증가를 가져왔으며 특히 광을 조사하여 배양한 결과 높게 검출되었다. 0.24 M NaCl 농도로 광상태하에서 함량은 61.7%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Table 1). 또한 모상근의 생장을 최적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 two step culture 방법을 조사한 결과, 0.05M, 0.1M NaCl 처리시 모상근의 생장율은 각각 약 62%, 76% 감소한 반면, ginsenoside의 함량은 29%, 48% 각각 향상되었다. 모상근은 방어기작의 일환으로 NaCl을 elicitor로 인지하고 2차대사산물인 사포닌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is very difficult to obtain stable production of qualified ginseng roots because of variable stresses in soil environments. High salt concentrations in the ginseng nursery soil environment of Korea is one of important reducing factors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quality ginseng. These studies were accomplished to identify the growth rate and production of ginsenoside from ginseng hairy root against NaCI. In the MS liquid culture, the highest contents and productivity of ginsenosides were appeared at 4 week after onset of the treatment of 0.1 M NaCI. And 0.24 M NaCI was more effective on the growth of ginseng hairy root under light condition than dark condition. Plants generally produce secondary metabolites in nature as a defense mechanism against pathogenic and insect attack. In this study, NaCI acts as a kind of stress as well as elicitor for production of ginsenosides.

저자
  • 양덕춘
  • 이범수
  • 인준교
  • 이정혜
  • 정대영
  • 심주선
  • 김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