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산시설용 재료의 내후성에 관한 연구 1.그물실의 자외선 열화기구 KCI 등재

Resistance to Weathering with Materials for fisheries Facilities 1. Photodegradation Mechanisms of Netting Twines for Fisheries Fac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63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수산시설용 그물감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PE 및 나일론과 신소재섬유로 구성된 Hi-PE 그물실의 내후성 기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그물실에 인공광원을 조사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그물실 표면의 형태적 변화와 밀도 및 광각X선 회절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인장시험에 의한 기계적 물성 특성과 비교「고찰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실 표면의 형태적 변화는 염색 처리된 PE와 나일론 그물실의 경우에는 표면에 안료가 석출되었을 뿐 균열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미처리된 Hi-PE 그물실의 경우 자외선 etching에 따른 균열의 현저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그물실의 분자 충진 밀도의 경우, 염색된 PE 및 나일론 그물실의 경우에는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큰 변화는 없었으나, Hi-PE 그물실의 경우에는 분자사슬의 재배열과 chain scission 등의 영향에 의해 밀도가 증가하였다. 3. 세 그물실 모두 회절 피크의 2θ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결정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는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4. 잔여 강도는 염색처리된 PE 및 나일론 그물실에서 각각 90.8%와 75.3%로 높게 나타났으나, 미처리된 Hi-PE 그물실에서는 68.3%로 가장 작았으며, 이는 전자현미경에 의해 촬영된 그물실 표면의 형태적 변화와도 잘 일치하고 있다.

To analyze the photodegradation mechanism of materials for fisheries facilities which stand for considerable time immediately under or even partly above the water surface, such as cage collar, cage net, stationary fishing gear, egc. after 900 hours exposure, weathering experiments on 3 kinds of netting twines like dyed polyethylene(PE) and nylon, and non-treated high strength PE(Hi-PE) were carried out by using xenon light sourc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It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EM) that a good protection by pigments was obtained in PE and nylon specimen, while crack was rapidly progressed at the surface of Hi-PE one owing to etching by UVR. There was a little increase in density resulting from reorientation of polymer chain, chain scission, etc. in Hi-PE specimen. A wide angle X-ray diffraction showed that 3 kinds of specimens had no fundamental changes in polymer crystalline structure considering each 2θ of diffraction peak. Remaining tenacity of netting twines was in order of PE, nylon, and Hi-PE after having been exposed to the effect of 900 hours. PE and nylon treated with stuffs were shown to be more resilient than non-treated Hi-PE as confirmed by SEM.

저자
  • 김태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