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수 연안 승망 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획변동에 관한 연구(I) -수온.염분과 어획량과의 관계 - KCI 등재

A Study on the Assembling Factors and Catch Fluctuation of Fyke Net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I) -Relation between Catch Fluctuation of Common Mullet, Mugil Cephalus and Temperature and Salinit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63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여수 연안 승망 어장의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조사한 해양 관측 자료와 현지에 조사한 어획량 등을 이용하여 여수 연안 승망 어장의 환경특성과 어획량 변동과의 관계를 분석 정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승망 어장에서의 수온의 분포범위는 13.0-25.0˚C이고, 4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8월에 최고 수온 25.0˚C을 나타내다가 9월부터 하강하기 시작했다. 2) 어장에서의 염분의 분포범위는 28.6-33.8‰이고, 4월과 5월에는 32.0‰이상의 염분수가 분포하며, 6월부터 하강하기 시작하여 8월에는 최저염분 28.6‰를 나타내다가 9월부터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3) 여수 연안 승망에 어획되는 주어종인 숭어의 어획량은 5월에 최대 어획을 나타내고 6월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11월에는 최소 어획을 나타냈다. 수온이 높아지기 시작한 시기인 5월의 수온이 15.0-1625.0˚C에서, 저염보다 고염분인 32.6-33.8‰에서 어획이 양호하게 이루어졌다.

In order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catch of fyke nets in the coastal waters Yosu, the oceanographic factors, i.e., the waters temperature and the salinity were observed respectively from April to November in 1999, and each of them was compared with the catch of common mullet, Mugil cephalus by fyke net.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water temperature was ranged from 13.0 to 25˚C and water temperature increased from April to August and decreased on September to November. 2. The range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s was from 28.6 to 33.8‰, and salinity was high from April to June. From July, however, the salinity decreased to continue a low value still september. 3. The catches of common mullet caught by funnel net were the highest in may and the smallest in November. The ranges of optimum water temperature for the funnel nets fishing was 15.0 to 16.0˚C, the ranges of optimum salinity for fishing varied between from 32.6 to 33.8‰.

저자
  • 김동수
  • 주찬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