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CSWMM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에서 내수침수의 시.공간적 해석 KCI 등재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Extended Sewer Surcharge on Anyangcheon Watershed Using PCSWM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7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대부분의 도시지역은 불투수면적 비율의 증가에 따른 짧은 도달시간 및 첨두유출량의 증가와 외수위보다 낮은 지반고의 지형학적 특정으로 인한 내수배제의 불량으로, 저지대의 침수위험도가 상당히 높다. 이러한 이유로, 설계홍수량을 이용하여 침수위험지역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공간적인 치수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효율적인 치수 관리를 위해서는 공간적인 측면뿐 아니라, 침수발생의 시간적인 측면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내수침수발생의 시공간적 분석을 통

Most of lowland in urban area has high flood risk because of short concentration time and high peak discharge by increasing of the impervious area and insufficient capacity of internal drainage due to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 that the water level

저자
  • 이길성(Dept., of, Civil, Urban, &, Geosystem, Engrg. Seoul, National, Univ.) | Lee Kil-Seong
  • 김성은(Dept., of, Civil, Urban, &, Geosystem, Engrg. Seoul, National, Univ.) | Kim Sun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