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APD를 이용한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수집종 유연관계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Genetic Relation among Collected Landraces of Agrimonsa pilosa L. Using RAP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4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우리 나라 자생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수집종의 분포, 자생지의 환경 및 자생지에서의 형태적 특성조사를 실시하고, 자생종 짚신나물와 도입 짚신나물 간의 형태적 특성 및 유연관계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종 중에서 하동지역의 화개면 쌍계사와 청암면 청학동에서 수집된 2종은 다른 수집종에 비하여 유전적 거리지수가 가장 가까운 수치에서 나타나 근연관계로 나타났으며, 충북 영동읍 비탄재와 경기도 강화읍 수집종간에는 유전적 거리지수는 최대값이 같은 것으로 보아 유연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경남거제에서 수집(No. 7)된 것과 충북 보은에서 수집(No. 21)된 2종이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게 나타나 지역적 차이에 의한 진화에도 다양함을 보이고 있어 수집지역의 확대와 이에 따른 체계적인 선발을 통해서 우량종의 선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증폭된 DNA band pattern에 있어서 절편크기는 300∼21000p로 PCR로 증폭된 종 상호간의 1-F값은 평균 0.624였고, 최소값 0.365, 최대값 0.827이었으며, 2개 군으로 분리되어 유전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gromonia pilosa Ledeb. has been used as a medicinal plant in traditional folk remedy. There are few reports on classification, physiology, ecology and morphological studies of Agromonia pilosa L. in Korea. Therefore, advanced approaches on study and development with this plant would be done urgently. Present stndy was carried out to gain basic information on genetic resources and variation with collected domestic landraces through RAPD analysis in Agromonia pilosa L. Forty two collections of Agromonia pilosa L. from nation-wide area including USA one were analyzed by RAPD test. Molecular marker size by amplified DNA band pattern ranged from 300 to 2,100bp. Among the collection, two landraces of Hadong and Cheonghak-dong showed close relation in genetic similarity. Minimum and maximum value by matrix of 1-F among 26 collected landraces were figured out as 0.365 and 0.827 showing mean value for 0.624, respectively. Those landrac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with cluster analysis by Nei and Li's formula from RAPD-analyzed values, and considerable genetic differences were recognized between two groups.

저자
  • 이용호
  • 최주호
  • 정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