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태백제비꽃군 ITS DNA 염기서열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ITS DNA Sequences of the Viola albida Complex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7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태백제비꽃군내 식물들은 동소적으로 생육하면서 단엽에서 장상복엽까지 연속적인 중간형을 나타내어 분류학적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태백제비꽃, 단풍제비꽃, 남산제비꽃 그리고 각 분류군 사이의 중간형을 잎의 형태에 따라 5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별 대표적인 개체를 선별하여 ITS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분류학적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있다. 정렬된 ITS1, ITS2 그리고 5.8S 지역의 염기서열은 702 bp로 나타났다. 5.8S 지역은 163 bp로 조사된 모든 개체에서 변이가 없었으며, ITS1과 ITS2는 일부 변이가 있어 분산분석, 염기 서열 분기 조사 그리고 분계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조사된 잎 형태별 개체들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기서열 분기 조사 결과, 군외군으로 설정한 낚시제비꽃과 노랑제비꽃의 경우 Kimura 2-parameter distance에서 절대치가 0.05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서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군내군 5 개체는 절대치가 모두 매우 낮게 나타나서 염기서열 분기는 종 수준이 아닌 종 이하의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분계분석에서 군외군으로 설정한 2 종은 기저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군내군은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였지만, 부트스트랩이 50% 이하로 나타나 계통학적 의미는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ITS DNA sequences from five individuals, representative of five group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leaf teeth and lobes from simple to palmate compound leaf in the Viola albida complex, established and further analysed in order to solve the taxonomic difficulty. A total 702 bp was sequenced at the 5.8S ribosomal DNA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and 2. The 5.8S coding region is 163 bp, and has no sequence variations. The ITS1 and ITS2 noncoding regions have a little bit sequence variations, and those were further analysed by the methods of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analysis of sequence divergence and the phylogenetic analysis. The result of ANOV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sequence divergence with Kimura 2-parameter distance revealed that in-groups showed much less than 0.05 in absolute value among individuals, while two out groups more than 0.05, V. grypoceras and V. orientalis. This result appeared that the sequence divergence among in-groups was not yet occurred in the species level but situated at somewhere below the species level. In the phylogenetic analysis, two outgroups formed the basal clades in order. Five individuals in-groups formed a clade. The clade was, however, not very robust as around 50% in bootstrap value, suggesting that this result was not meaningful in the phylogenetic point of views.

저자
  • 황성수 | Whang, Sung-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