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APD분자마커를 이용한 칡(콩과) 및 근연분류군의 유전적 변이 및 유연관계 KCI 등재

Genetic Variation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and Pueraia lobata Ohwi (Fabaceae) and Related Taxa by RAPD Ma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9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콩과에 속하는 칡 1종의 13집단과 근연분류군 2종의 4집단 등 총 17개의 개체군에 대하여 유전적 유연관계 및 종간 특이적인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분자마커를 알아보기 위해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15개의 oligo 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을 통해 증폭된 RAPD 절편들은 200 bp에서 2,800 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이중 유효한 polymorphic band makers는 총 208개, monomorphic bands는 3개를 확인하였으며, 칡의 종 특이적 분자마커는 4개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칡속의 17개 개체군 집단에 대한 UPGMA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UPGMA phenogram에서 한국산 칡 9개체군과 국외산 칡 3개체군이 각각 독립적인 두 개의 작은 유집군을 형성하였으며, 이후 두 유집군이 하나로 크게 유집되어 다른 칡 근연분류군과는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따라서 RAPD 분석은 칡과 근연분류군간의 유연관계 분석 및 한국산과 국외산 집단의 원산지판별에 매우 유용한 분자마커로 생각된다.

RAPD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genetic relationships and useful molecular maker for 3 species and their 17 regional populations of the Pueraria lobata and related taxa. The length of amplified DNA fragments ranged from 200 to, 2,800 bp. Two hundred and eight scorable polymorphic makers and three scorable monomorphic makers were found from the PCR reactions with 15 random oligo primers, and those were analyzed by Nei's genetic distance coefficient. Based on the UPGMA phenogram from RAPD analyses, two major groups (9 populations from Korea; 3 populations from foreign countries) were recognized. And it showed distinct genetic differences from related taxa. The RAPD results was very useful to define the samples by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o discus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opulations and their related taxa of the Pueraria lobata.

저자
  • 김동갑 | Kim, Dong-Kap
  • 장대식 | Jang, Dae-Sik
  • 김진숙 | Kim, Jin-Sook
  • 김주환 | Kim, Joo-H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