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왕제비꽃 자생지의 생태특성 KCI 등재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ola websteri Hemsley Habita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98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왕제비꽃 자생지의 환경요인, 토양 특성 및 식생을 조사하고 각 요인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왕제비꽃의 자생지는 총 7개 지역으로 해발고도 343-991 m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경사는 1-33˚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형성하였다.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로 확인되었으며, 포장용수량은 평균 28.97%, 유기물함량은 16.63%, pH는 5.62, 유효 인산함량은 14.75 μg/g으로 나타났다. 18개 방형구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133분류군이었으며, 교목층에는 고로쇠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고로쇠나무가 가장 높은 중요치를 보였다. 초본층에서는 왕제비꽃의 중요치가 9.6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벌깨덩굴(8.53%), 개별꽃(6.51%), 피나물(5.15%), 큰괭이밥(4.52%), 덩굴개별꽃(4.15%) 등이 높게 나타나 이 종류들이 왕제비꽃과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1.32였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08과 0.89로 산출되었다. 환경특성과 식생조사 및 토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상관분석 결과 왕제비꽃의 피도는 미사 및 모래함량, 관목층 이상 상층수목의 피도는 종풍부도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식생구조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는 크게 3개의 군으로 구별되었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soil and vege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ven different habitats of Viola websteri. These habitats, according to investigations, are mostly located on the slope of mountains facing north at an altitude of 343 m to 991 m above sea level with angle of inclination from 1 degree to 33 degrees. The type of soil is mostly sandy loam and the average field capacity of soil is 28.97%. Their average organic matter is 16.63%, soil pH 5.62, and available phosphorus is 14.75%. A total of 133 vascular plants are identified in 18 quadrates of seven habitats. Dominant species of woody plants in seven habitats are represented as Acer pictum subsp. mono and Quercus mongolica in tree layer, and Acer pictum subsp. mono in subtree layer. Importance value of Viola websteri is 9.66%, as regards the herbaceous layer, and five highly ranked species such as Meehania urticifolia(8.53%), Pseudostellaria heterophylla(6.51%), Hylomecon vernalis(5.15%), Oxalis obtriangulata (4.52%), and Pseudostellaria davidii(4.15%) are considered to be an affinity with Viola websteri in their habitats. The degree of their average species diversity is 1.32, and that of dominance and evenness are 0.08 and 0.89, respectively.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i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vegetation and soil analysis shows that the coverage of Viola websteri is correlated with silt and sand ratio, and coverage of tree layers are correlated with species richness and altitude. Cluster analysis based on vegetation structure of each habitats are forms a three groups.

저자
  • 장수길 | Jang, Su-Kil
  • 천경식 | Cheon, Kyeong-Sik
  • 김경아 | Kim, Kyung-Ah
  • 장진환 | Jang, Jin-Hwan
  • 유기억 | Yoo, Ki-Ou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