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입지환경과 식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각 자생지들은 자생지의 깊이, 암석 노출 비율, 우점 수종, 주변식생 등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에 따라 자생지의 식생이 다르게 나타났다. 암석이 노출된 유형의 자생지는 인접 지역과의 지형적인 경계가 뚜렷하고, 대부분 습한 환경에 자라는 수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토양이 풍부한 유형의 자생지는 깊이가 얕고, 토양이 발달되어 있으며 주변에서 이입된 수목이 분포하였다. 하지만, 초본층은 대부분 수생식물이 우점하며 이는 자생지가 습지의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소택지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제주고사리삼의 보존을 위해서는 자생지가 이러한 습지의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abitat positional environment and vegetation properties of Mankyua chejuense. The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habitat, the ratio of rock exposure, the dominant species and the surrounding vegetation, which affected the vegetation of the habitats. The habitats with a high ratio of rock exposure showed a distinctive geographical boundary to the adjacent region and most of them were composed of trees that grow in humid environment. On the contrary, in the soil-rich habitats, the depth was shallow, soil layer was well developed, and the trees were introduced from the adjacent areas. However, the dominant species in the herbaceous layer were aquatic plants, which indicated that the habitats had the properties of wetlan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s habitats of Mankyua chejuense have the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marshland. For the preservation of Mankyua chejuense,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the habitats maintain such properties of wet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