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갈매보리수나무 종자의 온도 및 여러 가지 전처리에 따른 발아반응 KCI 등재

Effect of Temperature and Various Pre-treatments on Germination of Hippophae rhamnoides See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91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기능성 작물, 사방용 수종, 토양개량 등 활용성이 뛰어난 갈매보리수나무의 유용 유전자원의 장기보존 및 실생번식에 도움을 주고자 종자의 발아 온도조건 및 전처리에 대한 발아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갈매보리수나무 종자는 10~35℃의 온도조건에 치상한 결과, 15, 20℃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 및 발아치는 25℃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요 발아온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 및 선형 회귀분석모델을 이용하였는데, 발아율을 이용한 2차 회귀분석 모델에서는 기준온도 0.6℃, 최대온도 36.4℃, 적정온도 18.5℃로 나타났으며, 발아가능 온도범위는 35.8℃이었다. 발아속도를 이용한 선형 회귀분석모델에서는 기준온도 8.3℃, 최대온도 35.4℃, 적정온도 25.3℃로 나타났으며, 발아가능 온도범위는 27.2℃로 분석모델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갈매보리수나무 종자를 생리적 처리 방법인 예냉, 층적 및 priming을 이용하여 전처리한 후 발아특성을 조사한 결과, 발아율에서는 CaCl2 300, 400 mM priming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평균발아일수는 층적 6, 8주 처리구에서 가장 짧게 나타났으나 대조구 보다 발아율이 낮은 것으로 보아 발아일수의 단축 보다는 발아의 종기 종료로 판단되었다. 발아속도 및 발아치의 경우 예냉 1, 2주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아율 또한 CaCl2 300, 400 mM 처리구에 이어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유묘 생산시 양적 질적 측면을 고려했을 때 가장 적정한 조건으로 판단 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est seed germination responses to temperatures and pre-treatments in Hippophae rhamnoides, which has many abilities in antioxidant activity, soil improvement and erosion control. H. rhamnoides seeds were placed at 10, 15, 20, 25, 30 and 35℃ under light condition. As the results, germination percentage (GP) was the highest at 15 and 20℃, and mean germination time (MGT), germination rate (GR) and germination value (GV) were the highest at 25℃. Quadratic and linear regression model were used to determine the cardinal temperatures such as base (Tb), maximum (Tm) and optimum (To) temperature for germination. In quadratic regression model using PG, Tb, Tm and To was estimated as 0.6, 36.4 and 18.5℃, respectively, and temperature range for germination was 35.8℃. In linear regression model using GR, Tb, Tm and To was estimated as 8.3, 35.4 and 25.3℃, respectively, and temperature range for germination was 27.2℃. Germination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fter H. rhamnoides seeds were treated by prechilling (1, 2, 4, 6 and 8 weeks), stratification (2, 4, 6 and 8 weeks), solid matrix priming (seed : carrier : water = 5 : 1 : 7, 8, 9 and 10), osmo-priming (-0.25, -0.5, -1.0 and -1.5 MPa) and calcium chloride (CaCl2) -priming (100, 200, 300 and 400 mM). The highest GP was observed in CaCl2 300 and 400 mM treatments, and MGT was the shortest in stratification 6 and 8 weeks treatments. GR and GV were the highest and GP was the second highest when seeds were prechilled for 1 and 2 weeks. Consequently, prechilling 1 or 2 weeks treatment was considered as the appropriate method when we contemplat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ffects in seedling production.

저자
  • 최충호 | Choi, Chu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