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봉의꼬리를 이용한 논토양의 비소정화에 미치는 차광처리의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hading Treatment on Arsenic Phytoremadiation Using Pteris multifida in Paddy Soi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92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토양에서 비소 흡수능이 우수한 봉의꼬리(Pteris multifuda)를 재배할 때 차광처리가 봉의꼬리의 생육과 토양 내 비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비소로 오염된 (구)장항제련소 인근의 논토양에서 수행하였으며, 각 실험구의 크기를 2×2m로 조성하였고, 동일한 생육단계의 봉의꼬리를 20×20cm 간격으로 식재하여 24주간 재배하였다. 차광조건에 따른 봉의꼬리의 생육을 조사하였고, 식물체 내 비소 축적량 및 토양의 비소 변화량은 IC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토양에서 차광에 의한 봉의꼬리의 생육은 무차광에 비해 차광 처리구에서 왕성하였다. 봉의꼬리 지상부의 비소 축적량은 차광(140.9mg·kg-1)에 비해 무차광 처리구(169.8mg·kg-1)에서 다소 높았으며, 지하부의 비소 축적량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생육은 70% 차광 처리구에서 월등히 우수하여, 토양에서 흡수한 비소의 함량은 차광처리구에서 오히려 더 많았다. 봉의꼬리의 비소 이동계수(TR)는 차광처리에 관계없이 0.87~0.89로 매우 높아 흡수한 비소를 지상부로 빠르게 이동시키므로 생육 후 지상부의 제거처리에 의해 토양 내의 비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effectiveness of shading on growth and arsenic absorption of Pteris multifida, known as hyperaccumulator of arsenic, from paddy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Study was carried out in paddy soil polluted by arsenic near the former Janghang smelter. P. multifuda in the same growth stage was planted with 20×20cm intervals in each experimental plot (2×2m), and cultivated for 24 weeks. The growth of P. multifuda according to shading conditions was evaluated, the accumulated amount of arsenic in plants and arsenic variation in the soil was analyzed using ICP.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growth of P. multifida cultivated under shading treatment was vigorous than non-shading. Accumulated amount of arsenic in aerial parts of P. multifida cultivated under non-shading (169.8mg·kg-1) was slightly higher than shading (140.9mg·kg-1), and those in underground part were almost the same. But the growth was great in 70% shading treatment. Therefore, arsenic contents absorbed from soils was much higher in shading treatment. Arsenic translocation rate (TR) of P. multifida was very high (0.87~0.89) regardless of shading conditions. So arsenic in soil could be efficiently eliminated by removal of aerial parts.

저자
  • 권혁준 | Kwon, Hyuk Joon
  • 조주성 | Cho, Ju Sung
  • 이철희 | Lee, Cheol 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