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항만물류산업에서 EDI 활성화 모형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EDI Model in the Port-Logistics Industr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077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중국 경제의 급성장으로 전세계 물동량이 동북아시아로 집중되어 부산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주요 항만간 경쟁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동북아시아 항만들은 생산성과 더불어 항만의 서비스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항만이 제공하여야 할 서비스 중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항만물류정보 시스템구축 및 효율적 운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부산항의 경우, 이미 항만물류 정보시스템은 구축이 되어 있으나 EDI문서의 중복성과 시스템 연계성 부족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아직 활성화 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항만물류산업에서 EDI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전체적인 연구모형 도출과 항만물류업체를 업종별, 집단별로 구분하여 차별화 된 활성화 모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rapid growth of economy in china leads to concentrate throughput volume of World to North East Asia. Ports in North East Asia have to cope with rapid changes in environments. In order for a port to compete in the global market, it must provide proper productivity and promptly services of port. The system of information hold a key in port-logistic industries. Most ports make every effort to set up and operate the system of Information. Busan port already set up the system of port-logistic information such as Port-MIS, KROIS. But it is not activated yet because of problems of documentation duplication and system connectivity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model which can activate the system of port-logistic information. In addition, We suggest a definite and feasible model by group and types of port-logistic industry.

저자
  • 신창훈 | Shin, Chang-Hoon
  • 김율성 | Kim, Yul-S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