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방 안전관리를 위한 Flex센서와 FBG센서의 적용성 검토 KCI 등재

Suitability Examination of Flex sensor and FBG Sensor for Levee Safety Manag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08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하천제방의 붕괴 요인중 구조물(배수통문) 주변 제방의 붕괴는 전체 요인의 l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2002년 홍수시 낙동강에서 발생한 제방 유실 지점은 거의 배수통문 주위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제방 파괴는 이질 재료인 통문 구조물과 제체 접합부 사이에 공극이나 공동이 형성된 후 홍수시 내부 침식으로 인해 공동이 확대되어 발생하는 파괴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천제방의 안전관리를 위해 배수통문 주변의 공동발생 여부 혹은 공동내의

Collapse of the levee surrounding structure(culvert) accounts for l0 % of collapse factors of the river levees. In particular, in 2002, the levee collapse that happened at "Nakdong River" at flood usually happened around culverts. This levee collapse has

저자
  • 이인제((주) 한국종합기술 수자원부)
  • 이은태(경희대학교 토목건축공학부 토목공학과)
  • 강정훈((주)한국종합기술 수자원부)
  • 김동민((주)한국종합기술 수자원부)
  • 장기태(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